"적정가격 발견 효과" vs "외국인·기관 폭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계에서는 주식시장이 효율적으로 기능하려면 공매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반면 공매도가 자본과 정보력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외국인과 기관투자가 등에 지나치게 유리한 제도라는 반론도 있다.
연구팀은 "공매도 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국인과 기관이 비용과 종목 선택의 폭, 정보력 등 여러 측면에서 개인에 비해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주식시장이 효율적으로 기능하려면 공매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반면 공매도가 자본과 정보력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외국인과 기관투자가 등에 지나치게 유리한 제도라는 반론도 있다.
공매도의 대표적 순기능으로는 ‘적정 시장가격 발견’이 꼽힌다. 공매도는 시장에 존재하는 부정적 정보를 신속히 주가에 반영해 기업가치를 합리적 수준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공매도를 규제하면 주가가 부정적 정보를 느리게 반영해 거품 등 비효율을 유발한다는 점은 국내외에서 많은 실증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부산대 류호영 강사와 김태혁·정대성 교수가 증권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한시적으로 금지된 기간에 과대평가된 주식의 매도가 어려워져 시장 왜곡이 심해지는 현상이 관찰됐다.
하지만 공매도가 모든 투자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는지에 대해선 물음표가 달린다는 반론도 있다. 한양대 전상경 경영대 교수와 임은아 박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6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36개월간 공매도 투자자가 얻은 수익금은 약 9175억원으로 같은 기간 신용융자 투자자 수익금(234억원)보다 39배 이상 많았다.
연구팀은 “공매도 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국인과 기관이 비용과 종목 선택의 폭, 정보력 등 여러 측면에서 개인에 비해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두가 주식만 바라볼 때, '1500억 뭉칫돈' 이곳으로 향했다
- "박원순 억울하게 죽어" 친문단체, 朴 피해자 살인죄로 고발 예고
- 해운업계 경쟁 불붙었는데…일본·대만에도 밀리는 한국
- 바이든도 푹 빠졌다…코로나에도 '주가 10배' 급등한 기업
- 카톡으로 돈 버니 달라진 카카오…'일부 유료화' 본격 시동
- 조승우, 안락사 위기 유기견 입양 "지난해 9월부터 문의"
- GS홈쇼핑, 김새롬 발언에 사과 "쇼미더트렌드 잠정중단" [전문]
- '슈돌' 윌벤져스 마음 흔든 누나가 있다? '누난 너무 예뻐'
- 권민아 "사랑받는 방법 고민하다 결국 포기"…12년 전 사진 공개
- "두 자리 띄어앉기 근거가 무엇입니까"…공연·영화계 '호소'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