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소부장 경쟁력 확보 계속돼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우리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에 대한 위기감이 커졌던 게 1년 6개월 전이다.
다행히 그동안 우리 정부가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을 시행한 결과, 핵심 품목의 공급망 안정화와 사업화에 진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우리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에 대한 위기감이 커졌던 게 1년 6개월 전이다.
다행히 그동안 우리 정부가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을 시행한 결과, 핵심 품목의 공급망 안정화와 사업화에 진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소부장 기업현장 보고서'를 통해 핵심 품목의 공급 안정화가 이뤄지고 196억원 사업화를 달성하는 등 산업 생태계에 긍정적 변화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일본 수출규제 3대 품목인 액체 불화수소(불산액)·극자외선(EUV)용 레지스트·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은 국내 생산을 빠르게 확충했다. 수급도 안정적이다.
사실 일본의 주요 핵심 소부장 수출 규제는 당시 우리 산업에 큰 위기였다. 하지만 민·관이 손잡고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노력한 덕분에 이른 시일 내 핵심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분명히 자랑할 만한 성과다.
그렇다고 만족만 하기엔 이르다. 앞으로도 원천기술은 새로운 무기가 돼 무역장벽으로 작동할 수 있다. 최근 자국 우선주의가 호가되고 있는 가운데 핵심기술을 해외에 의존하는 것은 부담이 크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세트 조립산업에 강점이 있지만 원천기술에 해당하는 소부장에선 큰 위세를 떨치지 못했다. 핵심 원천 기술력은 일본·독일·미국에 뒤처진다는 인식 속에 도전 자체가 적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소부장 강국으로 도약을 꿈꿔야 한다.
한 중견 장비업체 CEO는 “그동안 우리가 못한 게 아니라 안 한 것”이라면서 “대기업이 우리 중소기업의 제품을 적극적으로 써주고, 정부가 관련 기업을 잘 육성한다면 우리나라는 소부장에서 더 많은 성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소부장 정부 지원과 정책은 앞으로도 꾸준히 계속돼야 한다. 핵심은 우리 관련 기업 육성이다. 또 기업 간 협력 장터를 잘 구축해 다양한 기술 융·복합 사례도 늘려 가야 할 것이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텔 "2023년 생산할 7나노 칩 대부분 자체 생산…파운드리 역할도 커질 것"
- 국내서 할 수 없는 '블록체인 게임', 해외시장부터 공략
- 애플, VR 헤드셋 먼저...'애플 글래스'는 언제?
- 디지털 트윈으로 K-행정모델 만든다.. 데이터 표준·가이드라인 제정이 관건
- 현대차, 첫 레벨3 자율주행차에 '발레오' 라이다 단다
- 쿠팡 임직원 '스톡옵션' 행사 나섰다…나스닥 상장 초읽기?
- 더 똑똑해지는 대전…'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 전역 확대
- [과학핫이슈]우리나라 재난대응 로봇
- SK, 첨단소재·그린·바이오·디지털 사업 집중 실행…투자 포트폴리오 재편
- [단독]마이데이터 정보 유통 '12개 카테고리'로 나눠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