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위안부 판결', 日에 어떤 추가적 청구도 하지 않을 것"(전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위안부 판결'과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는 어떤 추가적인 청구도 하지 않을 방침이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23일 오후 보도자료를 내고 위안부 피해자 판결과 관련해서 "우리 정부는 2015년 위안부 합의가 한일 양국 정부간의 공식 합의임을 인정한다"며 "동시에 피해 당사자들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정부간의 합의만으로 진정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앞서 법원 "日정부, 1인당 1억씩 지급하라" 판결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정부가 ‘위안부 판결’과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는 어떤 추가적인 청구도 하지 않을 방침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일본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는 어떤 추가적인 청구도 하지 않을 방침이나, 피해 당사자들의 문제 제기를 막을 권리나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8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4부(재판장 김정곤)는 고(故) 배춘희 할머니 등 12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들에게 1인당 1억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과 상의하며 원만한 해결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면서도 “일본측 또한 스스로 표명했던 책임통감과 사죄·반성의 정신에 입각하여 피해자들의 명예·존엄 회복과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진정한 노력을 보여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다음은 정부 입장 전문이다.
1. 2021년 1월 23일 확정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제기 손해배상 소송 판결 관련 일본 정부가 외무대신 명의의 담화를 당일 발표하였습니다.
2. 이번 소송 판결과 일본측 담화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 정부는 2015년 위안부 합의가 한일 양국 정부간의 공식 합의임을 인정함. 동시에 피해 당사자들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정부간의 합의만으로 진정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왔음.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일본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는 어떤 추가적인 청구도 하지 않을 방침이나, 피해 당사자들의 문제 제기를 막을 권리나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음.
우리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과 상의하며 원만한 해결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지만, 일본측 또한 스스로 표명했던 책임통감과 사죄·반성의 정신에 입각하여 피해자들의 명예·존엄 회복과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진정한 노력을 보여야 할 것임.
아울러,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세계에서 유례없는 전시 여성의 인권 유린이자 보편적 인권 침해의 문제로서, 국제인권규범을 비롯한 국제법을 위반한 것임을 직시해야 할 것임.
우리 정부는 동 판결이 외교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여, 한일 양국간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이 계속될 수 있도록 제반 노력을 기울이겠음.
박경훈 (view@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누님 오래 기다려" "동생이 고생"…우상호·박영선 경선전 스타트(종합)
- 7살 아들 ‘앞니 말려 들어갈 만큼’ 때리고 내쫓은 父
- 휘성, 프로포폴 상습 투약…‘소울메이트’ 에이미 폭로 재조명
- [주간실거래가]강촌아파트 59㎡ 15.7억…소형평수도 15억 ‘훌쩍’
- '골드미스' 박소현 "4월 26일 결혼합니다" 깜짝 발표에 네티즌 발칵
- '동상이몽2' 노사연♥이무송, 갈등 깊어진다…폭풍 오열
- “마지막일지도 몰라”…‘코로나 감염’ 커플, 중환자실서 결혼식
- [의사당대로1]보선 예비후보 쏟아진 野…경선 흥행몰이 시동거나
- 부종·통증·피부색 변화…이스라엘 백신접종 의료진 37% 부작용
- 재연배우 이가돈, 셀트리온 본사서 큰절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