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당국 "초등학교 감염 위험성 평가후 등교수업 검토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역당국이 초등학교 저학년 이하에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험도를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결론적으로 WHO에서는 학교에서 방역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학교가 특별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대규모 집단감염 환경이 된 바는 없다는 이야기를 한 바 있다"고 했다.
앞서 방역당국은 '등교 중지' 조치가 실질적으로 코로나19 전파를 억제하는 데 효과가 미미하다는 내용의 논문을 소아감염학회지에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이 초등학교 저학년 이하에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험도를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등교 수업과 관련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냐는 질의에 "위험도를 세밀하게 평가하고 방역 방향을 논의하는 데 있어 적극적으로 임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부본부장은 "세계보건기구(WHO)가 학교에서의 코로나19 발생 상황을 발표한 내용을 보면 소아·청소년은 전 세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하지만, 코로나19 발생에 있어서는 8% 정도"라고 설명했다.
상대적으로 전파 규모나 감염력 등이 10세 이하 어린이에서는 떨어진다는 의미다.
그는 이어 "결론적으로 WHO에서는 학교에서 방역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학교가 특별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대규모 집단감염 환경이 된 바는 없다는 이야기를 한 바 있다"고 했다.
앞서 방역당국은 '등교 중지' 조치가 실질적으로 코로나19 전파를 억제하는 데 효과가 미미하다는 내용의 논문을 소아감염학회지에 발표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등교수업이 재개된 작년 5월 1일부터 7월 12일까지 3∼18세 사이의 소아·청소년 확진자 127명을 조사한 결과, 학교 내에서 감염된 환자는 3명(2.4%)에 불과했다.
가족과 친척에 의해 감염된 사례가 절반(59명·46.5%) 정도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는 입시학원이나 개인 교습(18명·14.2%), PC방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8명·6.3%)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5억에 남자아이 낳아드려요"…톱 여배우까지 뛰어들었다 [조아라의 소프트차이나]
- "남편이 나 몰래 퇴근 후 오피스텔에…" 딱 걸린 이중생활 [법알못]
- 방역당국 "변이 바이러스 전파력 크다…국내 확산 우려"
- 카카오뱅크도 신용대출 한도 축소
- "왜 베껴" 싸움 난 방송사…트로트 열풍 찬물 끼얹을까 [연계소문]
- 조영구 "주식 10억 날린 후 보험들어…사망 보장금 9억"
- '놀면 뭐하니' 유재석, 라방 3시간 전 포기 선언…'극대노'한 이유
- 박소현 결혼발표에 발칵…알고보니
- '동상이몽2' 노사연, 이무송에 28년 묵힌 마음 고백 '오열'
- "지인끼린 같이 앉게 해주세요" 공연·영화계 눈물의 호소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