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주간 일평균 지역발생 384명..거리두기 '2단계' 범위 진입(종합)

김예나 2021. 1. 23. 10: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차 대유행' 시작된 이후 두 달만에 300명대..완만한 감소세 유지되나
정부, 코로나19 백신 접종 준비 박차..내주 '예방접종 시행 계획' 발표
임시 선별검사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기세가 누그러지면서 하루 확진자 수가 300∼400명대에 머무르고 있다.

확진자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일각에서는 조만간 유행 상황이 안정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도 나온다.

신규 확진자 규모로만 보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도 거의 두 달 만에 2단계 범위로 내려왔다.

그러나 바이러스의 활동력이 왕성한 겨울철이 아직 끝나지 않은 데다 여전히 전국적으로 산발적 감염이 잇따르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금처럼 확진자 발생을 서서히 줄여나가면서 이르면 내달 초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는 방침이지만, 20%를 웃도는 '무증상 감염자'와 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브라질발(發) 변이 바이러스 등 방역 대응을 어렵게 하는 '위험 요인'이 가시지 않고 있어 변수가 되고 있다.

404명→400명→346명→431명…신규 확진자 뚜렷한 감소세 속 어제는 증가

2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31명이다.

전날(346명)과 비교하면 85명 늘었다.

하루 신규 확진자는 지난 20∼21일(404명, 400명) 이틀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가 전날 300명대 중반까지 떨어졌지만, 이틀 만에 다시 400명대를 나타냈다. 300명대로 내려온 것을 기준으로 하면 하루 만이다.

전날에는 이번 3차 대유행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초기인 지난해 11월 23일(271명) 이후 두 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하루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 400명대로 올라섰다.

큰 틀에서 최근 환자 발생 통계를 보면 국내 코로나19 확산세는 한풀 꺾인 채 진정 국면에 접어든 양상이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달 25일(1천240명) 정점을 찍은 후 1천100명대, 1천명대, 800명대 등 서서히 감소하는 흐름을 보이다가 이달 들어 눈에 띄게 큰 폭으로 줄었다.

[그래픽]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23일 신규 확진자 수는 400명대를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31명 늘어 누적 7만4천692명이라고 밝혔다. 전날(346명)과 비교하면 85명 많은 것이다. zeroground@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이달 신규 확진자 수는 일별로 1천27명→820명→657명→1천20명→714명→838명→869명→674명→641명→657명→451명→537명→561명→524명→512명→580명→520명→389명→386명→404명→400명(401명에서 정정)→346명→431명 등이다.

새해 초반 이틀을 제외하면 모두 1천명 아래에 머물렀고, 최근 며칠간은 300∼400명대를 유지했다.

1주간 지역발생 384명…거리두기 2단계 범위 진입

이달 17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일 상황을 보면 하루 평균 410.9명의 확진자가 새로 나왔다.

이 가운데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이자 지역사회 내 유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지역발생 확진자는 일평균 384명으로 집계됐다. 3차 대유행이 급확산하기 시작한 이후 이 수치가 300명대로 내려온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11월 27일을 기준으로 직전 1주간 일평균 382.3명 이후 약 두 달만, 정확히는 57일 만이다.

현행 거리두기 2.5단계 기준(전국 400명∼500명 이상 또는 더블링 등 급격한 환자 증가)을 벗어나면서 2단계 범위(전국 300명 초과)로 진입했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300명대 초중반 대로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당분간 더 확진자 발생 흐름을 지켜보면서 거리두기 체계 개편 논의와 함께 완화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접종 준비 속도전…이달 말 '예방접종 시행 계획' 발표

이처럼 감염 확산의 큰 불길이 잡힌 만큼 정부는 백신 접종을 위한 준비 작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연합뉴스TV 제공]

정부는 앞서 '코백스 퍼실리티'(백신 공동구매 및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및 개별 제약사와의 계약을 통해 5천600만명이 맞을 수 있는 백신을 확보했으며, 현재 2천만명 분을 더 확보하기 위한 계약도 진행 중이다.

특히 코백스로부터 받게 될 초도 물량은 약 5만명 분으로, 이르면 내달 초 국내로 들어올 전망이다.

코백스는 나라별 수요 조사를 끝낸 뒤 어떤 백신을, 얼마만큼 배분할지 최종적으로 확정하는데 이달 말 정도면 최종 내용이 통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백스를 통해 국내에 들어오는 백신은 화이자 제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백신 도입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방역당국은 백신을 운반하고 관리할 시스템도 하나둘 마련하고 있다.

우선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백신 유통관리체계 구축·운영 사업'을 수행할 기관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를 선정하고 계약을 마쳤다. 백신의 유통·관리는 안전한 접종을 위한 핵심 단계 중 하나로 꼽힌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백스에 더해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화이자 백신의 유통·보관도 담당하며 사물인터넷(IoT) 통합관제센터를 기반으로 각 백신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콜드체인'(냉장유통)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초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화이자 백신 등을 위한 냉동고 설치도 서두르고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백신을 누가, 어떻게 맞을지 등을 정하는 세부 접종계획도 조만간 확정해 내주 발표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백신접종 계획과 관련해서는 이달 중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별도 대국민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아마 이달 말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접종계획에는 백신 우선접종 대상자를 비롯해 접종 방식, 접종 기관, 부작용시 보상 방안 등이 담길 전망이다.

[그래픽] 국내 코로나19 백신 공급 일정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최근 노바백스사와 SK바이오사이언스 간 (구매) 계약이 추진되면서 지금까지 확보한 5천600만명분의 백신에 더해 2천만명분의 백신을 추가로 확보할 가능성이 열렸다"고 말했다. 또한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초도 물량 5만명 분이 내달 초 도착할 예정이며, 같은달 초중순 첫 접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jin34@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정부는 그간 의료기관 종사자, 집단시설 생활자 및 종사자, 노인 등과 더불어 50∼64세 성인도 우선접종 권장 대상으로 검토해 왔는데 세부 대상자와 규모는 최종 계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백신 물량이 한꺼번에 들어오는 것이 아니기에 접종 우선순위 등을 놓고는 어떤 결정이 나와도 논란이 있을 수 있다"며 "접종 순위에 대한 투명한 의사 결정과 국민적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yes@yna.co.kr

☞ 명품 두른 17세 소녀, 푸틴의 숨겨진 딸?
☞ BTS 팔로잉한 해리스 부통령…'팬 인증' 온라인 들썩
☞ 낭만 로코는 지고 격정 불륜만 남다
☞ 북한의 펜트하우스는 꼭대기 층이 아니다
☞ 경찰, '대통령 암살 권총 구입' 인터넷 글 조사 나서
☞ 프로게이머가 "김치녀" 욕설…징계할 일일까?
☞ '나 때문에 딸 코로나 감염'…30대 주부 극단 선택
☞ 고층 아파트는 배달료 더 내라?…"벚꽃 할증까지 생길라"
☞ "자격증 시험치러 강원까지"…고사장 부족에 수험생 '곤혹'
☞ "아파트 물탱크에 농약 탔다" 신고에 긴급출동했는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