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 시스코 인수합병 승인.."바이든에 올리브 가지"

차대운 2021. 1. 23. 10: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정부가 미국 대형 통신사인 시스코의 경쟁 업체 인수합병을 승인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 그간 민감하게 여겨진 인수합병 승인이 나오면서 중국이 미국 새 행정부에 관계 개선을 희망하면서 '올리브 가지'를 내밀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 출범 직후 오래 끈 아카시아 인수 승인
시스코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중국 정부가 미국 대형 통신사인 시스코의 경쟁 업체 인수합병을 승인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직후 그간 민감하게 여겨진 인수합병 승인이 나오면서 중국이 미국 새 행정부에 관계 개선을 희망하면서 '올리브 가지'를 내밀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시장감독총국은 최근 시스코의 아카시아 인수를 승인했다.

아카시아는 광학 네트워크 장비 전문 업체다. 이 업체의 최대 고객에는 중국의 통신사들과 통신장비 업체 ZTE가 포함되어 있다.

중국은 시스코가 아카시아를 인수한다면 관련 제품 가격이 오르거나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을 우려해왔다고 SCMP는 전했다.

중국 정부는 화웨이(華爲) 제재로 미중 간 '기술 전쟁'이 본격화한 2019년 10월부터 이 거래를 승인할지 검토해왔다.

중국의 이번 승인으로 시스코는 아카시아 인수를 위한 마지막 관문을 넘게 됐다.

안젤라 장 홍콩대 교수는 SCMP에 "과거 중국의 반독점 당국은 인수합병을 보류하고 거래 승인을 무역 및 대외 정책의 도구로 활용했기에 당국이 마침내 이 거래를 승인함으로써 새 바이든 행정부에 우호적인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로 중국 정부가 인수를 불허해 미국 기업의 대형 인수합병이 무산된 사례도 있다.

중국은 2018년 퀄컴이 네덜란드 반도체 업체 NXP를 인수를 승인하지 않아 결국 거래가 불발됐다.

cha@yna.co.kr

☞ 명품 두른 17세 소녀, 푸틴의 숨겨진 딸?
☞ BTS 팔로잉한 해리스 부통령…'팬 인증' 온라인 들썩
☞ 낭만 로코는 지고 격정 불륜만 남다
☞ 북한의 펜트하우스는 꼭대기 층이 아니다
☞ 경찰, '대통령 암살 권총 구입' 인터넷 글 조사 나서
☞ 프로게이머가 "김치녀" 욕설…징계할 일일까?
☞ '나 때문에 딸 코로나 감염'…30대 주부 극단 선택
☞ 고층 아파트는 배달료 더 내라?…"벚꽃 할증까지 생길라"
☞ "자격증 시험치러 강원까지"…고사장 부족에 수험생 '곤혹'
☞ "아파트 물탱크에 농약 탔다" 신고에 긴급출동했는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