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천문현상' 캘린더..하늘이 선사하는 환상적 우주쇼 펼쳐진다!

2021. 1. 23. 09: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3일 밤과 4일 새벽에는 3대 유성우라 불리는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찾아와 멋진 장관을 연출했다.

사분의자리 유성우를 놓치고 아쉬워할 사람들을 위해 올해 예고된 우주쇼를 살펴봤다.

먼저 4월에는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이 뜨고 5월에는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 11월에는 달이 지구의 본 그림자에 일부만 가려지는 부분일식 현상이 찾아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4월 올해 가장 큰 보름달, 5월 개기일식, 9월 달과 금성 근접, 11월 부분월식, 12월 유성우 예고
2019년 페르세우스 유성우.[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지난 3일 밤과 4일 새벽에는 3대 유성우라 불리는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찾아와 멋진 장관을 연출했다. 사분의자리 유성우를 놓치고 아쉬워할 사람들을 위해 올해 예고된 우주쇼를 살펴봤다. 먼저 4월에는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이 뜨고 5월에는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 11월에는 달이 지구의 본 그림자에 일부만 가려지는 부분일식 현상이 찾아온다.

올해 가장 작은 달과 가장 큰 보름달 크기 비교.[한국천문연구원 제공]

▶4월 가장 큰 보름달 뜬다=올해 가장 큰 달은 4월 27일 밤부터 28일 새벽까지 볼 수 있는 달이다. 달이 더 크게 보이는 원리는 망(望)인 동시에 달이 근지점을 통과해 달과 지구의 거리가 최소가 되기 때문이다. 27일 달은 서울 기준 19시 31분에 떠서 28일 새벽 6시 24분에 지며, 이날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5만7779km로 지구-달 평균 거리인 38만4400km보다 2만6600km 이상 가까워진다. 반면 올해 가장 작은 보름달은 11월 19일에 볼 수 있는데 이는 4월 27일 달보다 14% 작다.

2018년 1월 31일 개기월식 모습.[한국천문연구원 제공]

▶5월 지구가 달을 집어삼키는 개기월식= 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해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말한다. 보름달일 때에 일어나며 지구가 밤인 지역에서는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지구의 본 그림자에 달의 일부가 들어갈 때 부분월식이 일어나며, 달의 전부가 들어갈 때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올해 개기월식은 서울 기준 5월 26일 20시 9분 30초에 시작된다. 20시 18분 42초에 최대, 20시 27분 54초에 종료된다. 이 월식은 아메리카, 아시아, 호주, 남극, 태평양과 인도양에서 관측 가능하다.

▶9월 달과 금성 대접근=9월 10일 해질녘인 18시 48분경 남서쪽 하늘에서는 달과 금성이 3.6.도 정도로 근접한다.

2014년 부분월식 모습.[NASA 제공]

▶11월 달 일부만 가려지는 부분월식=2021년 볼 수 있는 두 번째 월식은 11월 19일 부분월식이다. 16시 18분 24초에 시작되지만, 달이 17시 16분에 뜨므로 이 시점 이후부터 부분월식 관측이 가능하다. 부분식은 18시 2분 54초에 최대, 19시 47분 24초에 종료된다. 이 월식은 아프리카 서부, 유럽 서부, 아메리카, 아시아, 호주,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볼 수 있다.

쌍둥이자리 유성우.[한국천문연구원 제공]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 쇼=유성우의 대표격인 쌍둥이자리 유성우 쇼가 펼쳐진다.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2월 14일 낮이 극대시각이지만 그날 밤과 자정을 넘어 15일 새벽에 볼 수 있다.

▶일식 현상은 당분간 국내서 못본다=월식과 다르게 일식은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으로 놓일 때 달에 의해 태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려져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올해 일식 현상은 6월 10일 금환일식과 12월 4일 개기일식이 있는데 이 두 번의 일식 모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다. 달이 태양의 가장자리만 남겨둔 채 가리는 것을 금환일식이라고 하는데 이번 금환일식은 북아메리카 북동부, 유럽, 아시아 북부, 북대서양에서 볼 수 있다.

12월 4일 개기일식 역시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고 남극, 아프리카 최남단, 호주 최남단, 남대서양, 남인도양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한반도에서 볼 수 있는 다음 개기일식은 2035년 9월 2일 오전 9시 40분경 북한 평양 지역,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 또 국내서 관측 가능한 다음 부분일식은 2030년 6월 1일로 예정돼있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