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과 거리를 두세요, 함께 존재하는 올바른 상호작용이죠" [커버스토리]
[경향신문]
■‘코로나 시대’ 동물행동학자들의 고군분투기
‘연구 잠정중단 결정되다’. 2020년 3월26일 이세인씨(28)의 일기는 짧았다. 열 글자를 겨우 적고 수첩을 덮었다. 인도네시아의 덥고 습한 공기가 익숙해질 무렵이었다. 자바섬 구눙할리문쌀락 국립공원 안의 작은 마을. 세인씨는 이곳 열대우림에서 자바 긴팔원숭이(오와·Owa)를 연구해 왔다.
12월까지 머물려던 계획이 코로나19로 어그러졌다. 하루 10~12시간을 보낸 숲이 닫혔다. 당분간은 연구진에게 열리지 않을 거라 했다. 70권 챙겨온 연구노트를 15권밖에 채우지 못했다. 도시 간 이동도 곧 막힐 거란 소식에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9개월 이른 귀국이었다.
이원영씨(39)는 오랜만에 한국에서 겨울을 난다. 2014년부터 매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까지 ‘남극의 여름’을 살며 극지동물을 연구했다. 이 시기엔 남극 기온이 영상까지 오른다. ‘나레브스키 포인트’에 펭귄 5000여쌍이 모여드는 번식기다. 이번 겨울 남극 현지 연구는 코로나19로 무산됐다. 자정에도 대낮처럼 환한 남극의 백야에 익숙한 터라, 오후 6시만 되면 까매지는 한국의 겨울밤이 낯설다. 인천 송도 연구실에 앉아있는 동안 “무엇으로도 재현할 수 없는” 2021년 1월 남극의 시간이 지나가고 있다.
‘코로나로 세상이 멈췄다’는 비유는 정확히 틀렸다. 인간 활동이 위축돼도 지구는 돈다. 인간이 바라보지 않아도 펭귄은 짝을 지어 새끼를 낳고, 오와는 비숲을 가로지른다. ‘관찰자’인 동물행동학자들은 여전한 자연의 움직임에 안도하면서도, 걱정이 많다. 현장연구는 중단됐고, 재개일은 알 수 없다. 불확실한 것을 배제해 나가는 게 연구자의 길인데, 코로나 이후로는 불확실한 것투성이다.
그렇다고 마냥 멈춰있을 수는 없다. 펭귄도 오와도 멸종위기종이다. 동물행동학자들은 야생동물에 대한 지식을 쌓는 연구가 올바른 공존의 방법을 찾는 길이라고 믿는다. 연구자들이 고민해 온 야생동물과의공존, 적정한 거리는 코로나 이후 전 지구적 질문이 됐다. 인간의 도시에 발이 묶인 1년여 동안 이들은 어떤 답을 찾았을까. 지난 14일과 15일 이화여대 영장류팀 연구원들과 이원영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각각 만났다.
계획대로라면 한 곳에 모일 수 없는 사람들이다. 지난 14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행동생태연구실에서 만난 영장류 연구팀원들은 코로나19로 예기치 않게 한국에 발이 묶였다. 인도네시아 자바섬을 교차해 오가야 하는 이들이 국내 연구실에서 얼굴을 마주했다.
이윤정 연구팀장(32)과 최아현(30)·이세인(28) 연구원은 야생 자바 긴팔원숭이(오와·Owa) 등 영장류를 탐구한다. 긴팔원숭이라 부르지만 실은 원숭이가 아니다. 영장류 중에서도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 보노보 같은 유인원에 속한다. 그래서 연구원들은 인도네시아어인 ‘오와’라는 명칭을 선호한다. ‘오와~오오와’ 소리를 내는 데서 온 이름이다. “야생동물은 서식지와 떼어 내 생각할 수 없어요. 한국에서는 낯선 용어이지만 그 동물이 살고 있는 곳의 말로 부르는 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오랑우탄도 말레이어 이름이거든요.”(이윤정 팀장)
연구팀은 오와를 “온몸을 덮는 은빛 털에 까만 얼굴, 그와 대조되는 밝은 회색의 눈썹이 길게 휘어 내려가 어쩐지 억울해 보이는 표정, 다리와 몸통에 비해 길고 긴 팔이 아름다운 생명체”라고 소개한다. 유일하게 일부일처제 사회구조를 가진 유인원이자 멸종위기종이지만, 중요도에 비해 알려진 것은 많지 않다. 이 대학 행동생태연구실이 주축이 된 ‘리틀 에이프 코리아’가 2007년부터 인도네시아 자바섬의 구눙할리문쌀락(할리문) 국립공원에서 장기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드문 연구다.
■현장을 잃은 영장류 학자들
2007년부터 인니 자바섬서 ‘오와’ 연구…코로나로 막혀
원격으로 재개했지만 현지 열악한 인터넷 사정으로 어려움
이 팀장은 지난해 4월부터 중국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해야 했지만, 아직 한국이다. 10개월 늦은 다음달 출국한다. 중국에서 인도네시아를 오가며 야생·사육 오와의 위생 관념을 비교하려던 계획도 미뤄졌다. 최 연구원은 한국에 코로나 첫 환자가 발생하기 한 달 전쯤 인도네시아 현장 연구를 마쳤다. 현지에 두고 온 분변 샘플들이 남은 과제다. 오와 가족의 일부일처제를 ‘친자확인’을 통해 확정하려고 모은 것들이다. 유전자 검사를 해야 하는데 코로나로 방문이 어려워져 기회를 살피는 중이다. 4개월 만에 연구를 접고 귀국한 이 연구원에 비하면 사정이 나은 편이다. 코로나19는 13년간 이어지던 인도네시아 현장 연구를 처음으로 멈춰 세웠다. 지난해 3월 말부터 한국 연구진의 할리문 국립공원 출입이 막혔다. 한국 연구진과 현지 연구보조원들, 그리고 멸종위기종인 오와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했다. 연구진은 평소에도 오와로부터 최소 7~8m 거리를 두고 일체 접촉을 피해왔지만, 인수공통감염병인 만큼 국립공원 측에서도 영장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는 분위기였다.
동물행동학자들에게 현장 연구는 고되지만 놓을 수 없는 작업이다. 오와는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별로 영역을 이뤄 산다. 영장류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인간과 비교하기도 좋은 조건이다. 이 팀장은 “인간과 닮았지만, 침팬지처럼 서열화나 정치성은 강하지 않은 평화로운 존재”라고 오와를 설명했다.
연구 주제는 대개 사회적 행동과 상호작용에 맞춰져 있다. 세세한 행동 데이터를 모으는 게 기본이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오와 가족이 눈 뜰 때부터 잠들 때까지 GPS를 이용해 위치데이터를 모으고 행동을 관찰한다. 긴 팔로 높은 나무 사이를 오가는 오와를 나무 밑에서 10시간씩 따라다니다 보면, 온몸이 땀에 젖는다. 가시나무에 찔리고, 벌레 떼에 공격당하고, 진흙 길에 미끄러져 다치기도 한다.
“새벽에 전날 밤 오와가 잠든 나무 아래 미리 도착한 뒤에 깨어나길 기다릴 때가 있어요. 해가 뜨면서 빽빽한 우림이 살짝 밝아지고, 벌레 소리가 들려와요. ‘푸스스’하고 나무가 흔들리는 소리가 들리면 오와가 일어난 거예요. ‘잘 잤어?’라고 조용히 혼잣말을 한 뒤에 10시간 동안 이어질 관찰을 시작해요. 고되긴 하지만, 숲이 깨어나는 시간을 함께하는 그 느낌이 그리울 때가 있어요.”(이세인 연구원)
이 연구원은 오와 가족 내 엄마와 막내 개체의 먹이행동 데이터를 모으는 중이다. 각각 어떤 먹이를, 얼마나 떨어져서 먹는지 등을 기록해 먹이정보를 학습하는 사회적 과정을 보려 한다. 코로나로 중단한 연구를 올해 들어 ‘원격’으로 재개했다. 현장에 직접 갈 수 없으니, 현지 연구보조원들이 기록한 행동 데이터에 기댈 수밖에 없다. 현장을 비운 사이에 먹이를 먹을 때 1m 정도 벌어졌던 엄마와 막내 개체 사이의 거리가 5m까지 늘었다고 했다. 연구 보조원들이 카메라로 찍은 영상은 현지 인터넷 사정이 열악해 받아보기 어렵다.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이 안 돼요. ‘이런 방식으로 데이터를 모으자’고 생각한 것이 현장과 안 맞는 때도 있고, 데이터 질이 떨어질 것 같으면 바로 수정해야 할 때도 있는데 그런 대처는 불가능한 거죠. 현장에 다시 갈 방법을 찾고 있어요.”
■‘랩걸’들의 코로나 돌파기
국내서 지원금 신청하면 “왜 한국에 없는 동물 연구하나”
크라우드 펀딩으로 비용 모으고 팟캐스트로 연구 공유
지난 1년간은 ‘총체적 난국’이라는 표현이 그렇게 들어맞을 수가 없었다. 자바섬에는 갈 수가 없고, 한국에는 오와가 없다. 코로나 이전에도 부족했던 연구 지원금이 이런 때 늘어날 리 없다. 국가나 기업에 연구 지원금을 신청하면 “왜 한국에 있지도 않은 동물을 연구하느냐”는 질문이 돌아왔다. 영국인인 제인 구달은 탄자니아에서 침팬지를 연구했다. 미국인인 다이앤 포시는 르완다에서 고릴라를 연구했다. 인류의 진화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던진 중요한 연구들이지만, 이런 예들도 ‘한국 영장류 학자들이 오와를 연구하는 의미’를 설득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2018년 기업 후원이 끊겼다. 차라리 해외기금 쪽으로 눈을 돌렸다. 내셔널지오그래픽 그랜트 등 해외기금을 받으며 “근근이” 버텼다. 이 연구원은 “해외기금 신청서를 낼 때는 ‘왜 한국인이 한국에서 연구 안 하느냐’는 얘기를 들은 적이 없다. 기초과학에 대한 존중이 있다면 할 수 없는 질문이기 때문”이라면서 “한국에서도 ‘야생 영장류 연구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느냐’라는 본질을 조명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와 불안정한 지원금이라는 이중고에서 돌파구가 필요했다. 한국의 동물행동학자로서 야생 영장류를 연구하는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다. 연구진은 인스타그램 계정(@little_ape_kor)을 열고, 지난 3월엔 ‘오늘의 영장류 토막상식(오영토막)’이라는 팟캐스트를 만들었다. “원숭이는 정말 바나나를 먹을까” “원숭이 엉덩이는 빨갈까” 등 사람들이 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잘 모르는 ‘영장류 상식’을 점검하는 질문들을 다뤘다. “영장류도 코로나에 걸리나” “영장류 부부의 세계” 등의 주제를 걸고 그간의 연구 성과도 공유한다.
연구지원금도 자체적으로 모아보기로 했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텀블벅’을 이용했다. 13년 동안 열대우림에서 모은 연구 데이터와 사진을 추려 관찰일지를 만들었다. 가장 오래, 가장 많은 시간 관찰한 ‘A가족’의 일상이 관찰일지 속에 살아났다. 엄마인 ‘아유’와 아빠 ‘아리스’, 자녀인 ‘아모레’ ‘아완’ ‘아자입’으로 구성된 한 가족의 일대기다.
목표액의 두 배인 1600만원이 모였다. 현지 연구보조원 월급과 집세, 연구장비 구입 등으로 연간 필요한 비용은 3000만원 정도다. 최 연구원은 “지속가능한 연구를 위한 나름의 시도”였다고 말했다. “국가가 신경 쓰고 지원하는 연구가 되는 게 현재로선 너무 어려워요. 그런 수준의 연구로 나아가는 과정 자체가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환경이니까요. 그래서 당장 우리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하기로 한 거였어요. 물론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그래도 일단 연구진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우리 연구의 의미를 알리기로 한 거죠.”
■야생동물과 ‘거리 두기’ 해주세요
이들은 멸종위기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곧 보전 활동이라고 말한다. 멸종위기종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알아야 확실히 지킬 수 있다는 얘기다. 오와에 대한 장기생태 연구는 서식지인 열대우림 파괴를 막는 일과도 닿아있다. 연구진은 할리문 국립공원도 벌목으로 점점 도시와 경계가 무너지는 중이라고 전했다.
“오와에게 바나나를 주면서 ‘멸종위기종을 돌본다’고 생각하는 것은 바람직한 보전 방식이 아니에요. 오히려 사람과의 거리를 좁히고 원래 잘 먹지 않을 것들을 먹게 만들 수 있어요. 그보다는 어떤 먹이를 어떤 방식으로 먹는 종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어떤 나무를 심어 서식지를 지켜야 하는지를 알려야 합니다. 연구팀이 현지에 있음으로써 밀렵을 막고, 주변 주민들에게 오와를 알리는 효과도 있고요.”(이 팀장)
코로나 사태 이후로는 야생동물과 인간 사이 ‘거리 두기’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다. 인간이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침범해 노출빈도가 높아질수록, 인수공통감염병 위험이 늘어난다. 매개종으로 지목된 박쥐와 천산갑 모두 인간의 서식지로 ‘끌려 나온’ 경우다. 코로나 이후 일부 지역에서는 야생동물 밀렵이 증가했다. 오와 역시 밀렵돼 애완용으로 판매된다는 소식은 연구진을 긴장시킨다. 최 연구원은 “야생동물이 어떤 상태에서 가장 아름답고 자연스럽게 존재할 수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야생동물과의 올바른 상호작용 방법을 숙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과 공존한다는 의미는 인간이 이들을 가까이서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다는 것과는 다릅니다. 한국에 많이 생겨난 체험 동물원에서 동물을 친근하게 만지게 하잖아요. 이런 게 정서발달에 좋다고 하고요. 잘못된 방식의 상호작용을 ‘교류’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야생동물을 야생에 두는 의미를 숙고해야 해요. 안전 문제를 떠나서, 인간과 야생동물이 적정한 거리를 지키면서 ‘함께 존재하는 것’이 올바른 상호작용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유정인 기자 jeong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커버스토리]“두고 온 가족 같은 펭귄들…온난화 피해, 다음은 인간”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