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산업개발, 18년만에 공기업으로 전환되나
2003년 민영화된 한전산업개발을 18년 만에 다시 공기업으로 전환하는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한국전력과 한국중부발전 등 발전 5사는 발전 설비 운전·정비 업체인 한전산업개발 비정규직 근로자의 원활한 정규직 전환 작업을 위해 한전산업개발 인수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노동계와 정치권의 압력에 밀린 역(逆)민영화 정책에 대해 소액 주주의 반발 등 논란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22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한전과 발전사들은 21일 ‘한전산업개발 지분 인수’ 자문 용역 입찰 공고를 냈다. 한전 등은 한전산업개발 최대 주주인 자유총연맹이 보유한 지분의 합리적 인수 비용을 검토하고 계약을 체결하는 데 회계·법률 전문가의 실사·자문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전산업개발은 1990년 한전의 100% 자회사로 설립됐다. 2003년 민영화한 뒤 2010년 상장했다. 지분은 자유총연맹이 31%, 한전이 29%, 소액 주주 등이 40%를 갖고 있다.
노동계는 2018년 12월 충남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한 비정규직 근로자 고(故) 김용균씨 사건을 계기로 한전과 발전사들이 한전산업개발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직접 고용하라고 요구해 왔다. 지난해 9월 기준 한전산업개발의 전체 직원 수는 2913명이며, 이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757명이다.
한전산업개발이 공공기관으로 전환하려면 한전이 자유총연맹의 지분을 매입해 최대 주주로 올라서고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한전 관계자는 “자유총연맹과 지분 매입에 대해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프로야구 KT, 창단 10주년 홈 개막전서 LG 꺾고 시즌 첫 승
- 우크라 민간인 폭격한 러 조종사 아내들, 해커 집단에 속아 ‘야한’ 달력 사진 찍어
- “부산에 유치해~2030월드엑스포”…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행사 잇따라
- 동창들 추가 증언 이틀 뒤… 황영웅, 편지 쓰고 “노래 포기 안 해”
- 강남 납치범 “의뢰인이 범행 전 음식 사주고, 숙소 잡아줘”
- ‘문팬’ 등 지지자 모여 박원순 추모식 “고인, 모든 것 타인 위해”
- 수십억 가상화폐 노린 납치·살인.. 경찰 “구체적 액수 파악 중”
- ‘떠다니는 군사기지’ 美 니미츠함, 시민들에 공개해
- “주인이 뭘 또 사왔다, 개만족”… 삼성 만우절 장난에 한술 더 뜬 리뷰들
- 보은 피반령서 오토바이 타다 미끄러진 40대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