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한 영상이 생명" AI-VR 등 첨단기술 총동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팬데믹 속에서 콘텐츠 업계는 "발상부터 바꾸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다"는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콘텐츠 업계의 최대 변수는 '비대면'과 '모바일 이용량 증가'다.
팬데믹을 거치면서 이용자를 많이 확보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반 콘텐츠 기업이나 OTT 업계는 다른 업계와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업계의 최대 변수는 ‘비대면’과 ‘모바일 이용량 증가’다. 매년 메가 이벤트인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MAMA)’를 진행했던 CJ ENM은 지난해 말 처음으로 시상식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박진감 넘치는 방송 영상을 위해 4축 와이어캠을 비롯한 첨단 촬영 장비를 갖춰야만 했다.
모바일 콘텐츠 소비량이 늘면서 콘텐츠의 길이도 주요 변수가 되고 있다.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볼 수 있는 짧은 콘텐츠도 중요하고, 동시에 OTT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둔 다소 긴 콘텐츠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회당 5∼15분 내외로 구성한 쇼트폼(short-form)과 25∼35분 길이로 확장한 미드폼(mid-form) 콘텐츠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제작사 ‘플레이리스트’ ‘와이낫미디어’ 등은 방송사와 협업해 쇼트폼, 미드폼 드라마를 제작 중이다.
관객이 급감한 영화업계는 공간 활용법을 고민하고 있다. 서울극장, 메가박스 등은 소수 관객에게 상영관을 통째로 빌려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중소 규모 극장은 개봉작 위주 상영에서 벗어나 특정 주제의 테마관을 확충하는 추세다. 글로벌 협업을 많이 하는 영화 제작사들은 더빙, 녹음, 그래픽 작업 등을 동시에 원격으로 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자체 라이브 공연 플랫폼 ‘위버스’를 갖춘 빅히트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해 네이버의 ‘브이라이브’, 엔씨소프트의 ‘유니버스’ 등은 생생한 영상 전달을 목표로 기술력을 집약했다. 화면 분할 스트리밍, 다수 화면을 동시 시청하는 멀티뷰 등은 연극·뮤지컬계에도 도입됐다.
웹뮤지컬을 제작한 김지원 EMK엔터테인먼트 대표는 “무대를 영상화하는 것을 넘어 반대로 영상 안에 뮤지컬을 녹이는 방식으로 기획 단계부터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팬데믹을 거치면서 이용자를 많이 확보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반 콘텐츠 기업이나 OTT 업계는 다른 업계와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모바일에 최적화한 ‘세로형’ ‘소통형’ 콘텐츠가 핵심이다. 틱톡과 카카오M이 선두주자로 꼽힌다.
김기윤 기자 pep@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로나 지원 돈풀기’ 경쟁하는 與주자들
- 재원 방안은 없이… “손실보상, 이익공유, 보편지급, 선별지급”
- 與 만난 자영업자들 “전기도 끊길 지경” 호소
- 홍남기 “재정은 화수분 아니다”… 정치권 손실보상법에 각세워
- [사설]與 대권주자 ‘브랜드 경쟁’에 피멍 드는 나라 재정
- [e글e글]“유시민, 세상 뒤집어 놓고 사과로 퉁?” 비판 쏟아져
- “주가 올라도 이익은 제자린데”…IT업계, 이익 공유제 논의 ‘난색’
- 정의용 21억-황희 6억-권칠승 5억…장관 후보자 재산 신고
- “재정 화수분 아니지만…” 홍남기 뒤끝 남긴채 ‘손실보상’ 항복
- 강창일 “2015년 위안부 합의 유효… 日정부가 낸 10억엔 활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