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하늘 관측하며 쓴 우주와 인간의 역사

조성민 2021. 1. 23. 03: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별 가운데 100개만 간추려
태양의 상성 '네메시스' 존재 여부
과학 도움 없이 별 관측 이야기 등
138억년에 걸친 '우주쇼' 흥미진진
2010년 미 항공우주국에서 촬영한 태양의 모습. 태양은 우리와 너무도 가까워서 평소에는 별이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별이지만, 다른 어떤 별보다도 중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태양은 지구 상의 모든 생명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100개의 별, 우주를 말하다/플로리안 프라이슈테터/유영미 옮김/갈매나무/1만8000원

“별에서 온 우리는 별로 돌아갈 것이다. 그러므로 별을 생각하는 시간은 인류와 우주의 역사와 미래를 생각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별은 언제나 인류의 뮤즈로 존재해왔다. 별이 있기에 우리는 하늘을 바라봤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부터 별의 움직임을 관찰해 절기를 파악하고, 길흉화복을 점쳤다. 또 별이 주는 신비함은 온갖 상상력을 자극해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은하수를 양쪽에서 바라보는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처럼 별 하나하나에는 신화가 함께한다. 천문학이 자연과학 중 가장 오래된 학문인 이유는 이처럼 인간을 사로잡는 별의 매력 때문일 것이다.

이제 우리는 우주탐사선을 쏘아올려 우주를 탐사하고 인간으로서는 볼 수 없는 것을 관측, 검출하는 등 엄청난 진보를 이뤄냈다. 별빛으로 우주의 작동원리와 우주를 이루는 물질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우주의 먼 과거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 하지만 우주의 광대함은 아직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실재하지만 닿을 수 없는 별은 현대에도 여전히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상징으로 남아있다.

신화와 종교에 큰 영향을 주었고 예술과 학문에 영감을 불어넣은 별. 책 ‘100개의 별, 우주를 말하다’는 수많은 별 가운데 100개만을 간추렸다. 100개의 별에는 100개의 이야기가 담겨있어 천문학적 지식이 없더라도 우리의 시야를 우주로 확장한다. 우주에 대한 지식은 전승된 신화처럼 생각보다 친숙하고 때때로 유용하다.

예를 들면 너무도 가까워서 우리가 평소에는 별이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별이 있다. 이 별은 다른 어떤 별보다도 중요하다. 태양계의 중심에서 지구 상의 모든 생명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존재, 바로 태양이다. 태양 역시 별이지만 일상과 함께하다 보니 그다지 인식하지 못하는 별 가운데 하나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태양과 지구의 거리는 약 1억4960만㎞로 이는 곧 1천문단위가 됐다.
플로리안 프라이슈테터/유영미 옮김/갈매나무/1만8000원
그런데 태양에는 숨겨진 이야기가 있다. 태양의 상성인 ‘네메시스’가 있다는 주장이다. 1984년 천문학자 마크 데이비스, 피에트 헛, 리처드 뮬러는 “네메시스가 공룡 멸종을 불러온 죽음의 별이며 다시 지구에 대량 멸종을 초래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주장했다. 6500만년 전에 공룡 대멸종을 불러왔던 소행성 충돌이 일회성이 아니라 평균 2600만년에 한 번씩 일어나며 그 원인이 태양의 동반성 네메시스라는 말이다. 이들은 나름의 근거를 갖고 있었고 많은 이들이 설득되기도 했지만, 아직까지는 네메시스의 존재가 실재한다고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과학기술의 도움 없이 별을 관측했던 시절의 이야기도 흥미롭다.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는 새벽하늘에 시리우스가 보이면 농사를 준비했다. 당시 나일강은 매년 한 번씩 범람하여 주변 땅을 비옥하게 만들었는데, 같은 시기 새벽하늘에서 으레 시리우스가 뜨는 걸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알타이르와 베가, 두 별 사이에 놓인 은하수를 바라보며 우주적 로맨스물인 견우와 직녀 설화를 지어냈다. 천문학이 점성학으로부터 독립한 지 오래됐지만, 여전히 우리는 황도를 따라 12개의 별자리로 운명을 점치는 일을 계속한다.

천문학계 최신 이슈도 빠질 수 없다. 2016년 학계는 떠들썩했다. 중력파 검출에 성공하여 아인슈타인이 옳았음이 다시 한 번 증명됐기 때문이다. 중력파 검출에 성공한 물리학자 라이너 바이스, 베리 배리쉬, 킵 손 등은 그에 대한 공로로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2019년에도 천문학계를 넘어 전 세계를 흥분시킨 사건이 있었다. 블랙홀의 그림자를 관측한 것이다.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검은 영역을 최초로 관측하여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 증명해낸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 앤드리아 게즈 역시 2020년 노벨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저자 플로리안 프라이슈테터는 “우주에 영원한 것은 없다”며 “태양과 지구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미래의 종착점에는 어떤 것이 기다릴까. 끝없는 우주 안에서 인간이란 존재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수 광년에서 수십 광년의 거리를 달려 우리에게 도달한 별빛을 보고 별들의 이야기를 돌아보는 일은 과학보다 철학에 가까운 과정이다. 별을 바라보는 일은 결국 우리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

별들은 우주의 크기만큼 다양하고 모든 별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를 이해하고자 했던 인간들의 이야기이자, 그 과정에서 이들이 얻었던 매력적인 인식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에는 고대와 중세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하늘을 관측하며 써 내려온 우주와 인간의 치열한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고, 138억년에 걸친 우주의 이야기에는 인류의 열망이 담겼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