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공업용 미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업용 미싱'은 정치권에서 논란을 빚은 대표적인 막말이다.
김홍신 전 한나라당 의원은 지방선거가 임박한 1998년 5월 "김대중 대통령은 사기치는 데 일가견이 있다. 염라대왕에게 끌려가면 바늘로 뜰 시간이 없어 공업용 미싱을 입에 드륵드륵 박아야 할 것"이라고 독설을 날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전직 대통령 사면에 부정적 입장을 내놓자,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을 겨냥해 "전직이 되면 본인이 사면 대상이 될지 모른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존·상생이 아니라 적의·증오가 지배하는 한국 정치에서 인신공격성 막말은 정치인에게 쉽게 뿌리칠 수 없는 유혹이다. 지지층을 위무하고 결집하는 데 이만 한 게 없기 때문이다. 상대 진영이 배출한 대통령을 직격할 때는 유난히 자극적인 표현이 동원된다. 노무현정부 때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노 대통령을 “등신”으로 비유했다. ‘환생경제’라는 연극에서는 노 대통령을 “노가리” “육실헐놈” 등 인격모독성 언어를 동원해 비난했다. 이명박정부 때 민주당 의원은 이 대통령을 “쥐박이”라고 했다. 박근혜정부 때는 민주당 원내대변인이 박 대통령을 겨냥해 ‘귀태(태어나지 않아야 할 사람)’ 운운해 파문을 일으켰다.
다시 입에 올리기도 민망한 공업용 미싱이 20여년 만에 또 정치권에 등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전직 대통령 사면에 부정적 입장을 내놓자,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을 겨냥해 “전직이 되면 본인이 사면 대상이 될지 모른다”고 했다. 문 대통령도 퇴임 후 감옥에 갈 수 있다고 한 것이다. 이에 발끈한 김경협 민주당 의원이 “공업용 미싱을 선물로 보낸다”고 치받았다. 그러자 주 원내대표는 “미싱을 보내면 잘 쓰겠다”고 비아냥거렸다. 정치보복을 시사하고, 저급한 말을 끄집어낸 두 의원 모두 한심하긴 매한가지다.
모름지기 정치는 언어다. 정치인의 말은 자신의 인격뿐 아니라 정치문화 수준을 가늠하는 잣대다. 정치 언어가 이렇게 추하고 경박해서는 선진 정치를 기대할 수 없다. 우리 정치는 정치자금 투명화·권력 분산 등에서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그러나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오히려 퇴행하는 분야가 있다. 바로 막말이 횡행하는 정치 언어다.
박창억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