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의역사유적탐방] 창덕궁 후원의 설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는 유난히도 눈이 많다.
창덕궁 후원은 세조 때 현재의 규모로 확장한 이래 인조, 숙종, 정조, 순조 등 역대 왕들이 필요에 따라 각 영역을 조성한 것으로 나타난다.
옛 기록에 따르면 창덕궁 후원은 북원(北苑), 금원(禁苑,) 상림(上林)이라고 불렀다.
눈으로 덮여 있는 시점에 창덕궁 후원을 찾아보면 더욱 좋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원이 시작되는 가장 중심 공간에는 1776년 정조가 건립한 규장각과 그 앞에 연못 부용지가 있다. 규장각 2층 누각인 주합루 동쪽의 영화당 앞 넓은 마당에서는 과거 합격자들에 대한 시상이 있었다. 규장각을 지나 후원 안쪽으로 들어가면 정자, 연못, 돌담, 장식물 등이 자연과 어우러진, 존덕정, 관람정, 취규정, 소요정, 태극정 등 저마다의 개성을 가진 정자들을 만날 수 있다. 창덕궁 후원 북쪽 깊숙한 곳에 널찍한 바위, 폭포와 정자들이 비경을 연출하는 곳은 옥류천과 소요암 지역이다. 옥류천은 백악에서 동쪽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응봉 기슭으로부터 흐르는 물과 인조가 친히 파서 일군 어정(御井)에서 넘치는 물이 합류하는 작은 개천이다. 이곳에 있는 태극정, 취규정 등의 정자들은 대부분 인조 때 조성되었다. 인조는 옥류천 위의 넓은 바위(소요암) 하단에 ‘玉流川(옥류천)’이라는 세 글자를 새겨 넣었다. 소요암에 ‘흩날리는 물 삼백척 높이/멀리 구천에서 내리네’로 시작하는 숙종이 지은 시가 새겨져 있는 것도 주목된다. 초가로 지붕을 덮은 청의정을 비롯하여, 농산정, 취한정 등 개성을 지닌 정자들도 풍류와 멋을 더해 주고 있다. 눈으로 덮여 있는 시점에 창덕궁 후원을 찾아보면 더욱 좋다.
신병주 건국대 교수·사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