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 '후손 흡수정책' 차질..저유가 경기침체 장기화 탓

김상욱 2021. 1. 22. 2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외에 거주하다가 카자흐스탄으로 귀화한 카자흐인들에 대한 '칸다스'(하나의 혈통) 지위 부여 건수가 대폭 감소하였다.

22일(현지시간) 현지의 인터넷 매체인 Nur.kz에 따르면 구소련 시절 주변국으로 이주했던 카자흐인들에 대한 귀화장려정책의 일환으로 마련된 '칸다스'지위 부여 건수가 2020년 1만3천건으로 집계됐다.

카자흐스탄 노동사회복지부는 독립 직후인 1991년부터 2020년까지 해외거주 카자흐인 170만명이 모국으로 재이주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혈통' 시민권 부여건수 작년대비 급감
1991년 소련 독립 때부터 모국귀화 정책 추진
카자흐스탄 알마티[타스=연합뉴스 자료사진]

(알마티=연합뉴스) 김상욱 통신원 = 해외에 거주하다가 카자흐스탄으로 귀화한 카자흐인들에 대한 '칸다스'(하나의 혈통) 지위 부여 건수가 대폭 감소하였다.

22일(현지시간) 현지의 인터넷 매체인 Nur.kz에 따르면 구소련 시절 주변국으로 이주했던 카자흐인들에 대한 귀화장려정책의 일환으로 마련된 '칸다스'지위 부여 건수가 2020년 1만3천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에 비해 4천명이 줄어든 수치로 저유가에 따른 카자흐스탄 경제의 장기침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카자흐스탄 노동사회복지부는 독립 직후인 1991년부터 2020년까지 해외거주 카자흐인 170만명이 모국으로 재이주했다고 밝혔다.

이를 국가별로 나눠보면 2020년의 경우, '칸다스'지위를 부여받은 카자흐인들의 절반 이상(53.1%)이 중국에서 왔다.

우즈베키스탄이 31.3%로 그 다음이었고 투르크메니스탄이 8.7%, 몽골이 3.7% 등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귀화인은 주로 알마티(51.3%)에 재이주했고, 만기스타우(13.3%), 투르키스탄(5.6%), 누르술탄(4.1%), 침케트(3.9%) 지역도 정착지로 삼았다.

해외 거주 카자흐인들은 1930년대에 카자흐스탄 초원에 닥친 가뭄과 기아로 인해 가축들이 죽고 아사자가 늘어나자 주변국으로 이주했던 사람들의 후손들이다.

카자흐스탄은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직후부터 시민권과 정착 지원금을 주는 등 이들에 대한 모국 귀화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오고 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이들의 호칭을 '오랄만'에서 '하나의 혈통'이라는 의미의 '칸다스'라는 공식용어로 2020년 5월 변경했다.

almatykim67@yna.co.kr

☞ '나 때문에 딸 코로나 감염'…30대 주부 극단 선택
☞ 명품 두른 17세 소녀, 푸틴의 숨겨진 딸?
☞ 프로포폴 투약 가수 휘성 징역 3년 구형…"공소 사실 인정"
☞ 안철수, 강원래 '방역 꼴등' 발언 사과에 "마음 아파"
☞ 이방카, 트럼프 따라 플로리다로…최고급 아파트 임차
☞ 전인권, 옆집이 지붕 1m 높이자 기왓장 마구 투척
☞ 유시민 "검찰에 사과, 과도한 정서적 적대감에…"
☞ "살고 싶다면 날 따라와라" 74살 터미네이터의 당부
☞ 집에 간 트럼프, 굴욕 계속…거래 은행서 계좌 폐쇄
☞ '세기의 커플' 알랭 들롱 전 부인 암으로 사망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