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5채 중 1채는 '대출 금지선' 15억 넘어
성유진 기자 입력 2021. 1. 22. 15:55
서울 집값이 계속 오르면서 15억원 넘는 아파트 비중이 2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15억원은 정부가 정한 초고가 아파트 기준으로, 2019년 12·16 대책 이후 집을 살 때 주택담보대출이 전면 금지돼 있다. 서울 아파트 5채 중 1채는 대출이 불가능한 아파트인 셈이다.
22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가 서울 아파트 124만여 가구의 시세를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2월 서울 15억원 초과 아파트 가구 수 비율은 조사 대상의 15.98%(19만9517가구)였지만, 지난해 12월에는 20.78%(26만7013가구)로 증가했다. 반면 9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1년 만에 62.79%에서 50.4%로 줄었다.
전문가들은 풍부한 유동성에 더해 지방 집값 과열로 인한 서울로의 역(逆)풍선효과, 새 임대차법 이후 심해진 전세난 등을 원인으로 분석한다. 실제 지난해 하반기 이후 강남권뿐 아니라 비(非)강남권 중소형 아파트에서도 15억원 넘는 거래가 늘었다.
지난 12월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전용면적 59㎡)가 15억3500만원에 팔렸고, 종로구 ‘경희궁자이2단지’(59㎡)도 10월 15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상대적으로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노원구에서도 지난 12월 ‘라이프·청구·신동아’(115㎡)가 처음으로 15억원 넘는 가격에 팔렸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선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이민 오지 말라’ 말리려 중남미 출장길 오른 뉴욕시장
- [사설] 사면초가 경제, 어렵지만 금리 인상 정공법 검토할 때다
- [사설] “이승만 없었으면 가장 가난하고 자유 없는 나라서 살고 있을 것”
- [사설] 가짜 뉴스 만든 사람들이 국민 세금 쓰며 ‘팩트 체크’했다니
- [김창균 칼럼] 영장 앞에 머리 조아린 정치
- 40년 한센인 돌본 ‘소록도 천사’… 피사렉 간호사 기리는 서울 분향소
- QLED TV에도 쓰인 기술, 노벨화학상 수상
- 1360원 뚫은 ‘킹달러’… 환율 연중 최고치
- 美 나홀로 호황이 부른 고금리, 세계 금융 흔들기 시작
- 與 “묻지마 범죄라는 용어가 오히려 범죄 부추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