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년 명동 공실률 5배 뛰었다.. 청담은 명품 보복소비 영향 공실 소폭 감소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며 서울 명동 상권의 공실률이 1년 전보다 5배 가까이 치솟으며, 가게 5곳 중 1곳이 빈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 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서울 주요 6대 거리 상권을 분석한 결과, 작년 하반기 서울 명동 중심거리 공실률은 21%를 기록했다. 상반기(12.8%)보다 8.2%포인트 급증한 수치다. 1년 전(4.4%)과 비교하면 공실률이 거의 5배나 높아졌다.
명동 상권은 코로나발(發) 입국 제한 조치 등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며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외국인 관광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6.3% 감소했다. 특히 관광객 손님 비중이 높았던 화장품 가게와 기념품 매장, 의류 매장들이 줄줄이 문을 닫았다.
가로수길(14.2%), 홍대(11.2%), 이태원(10.6%), 강남역(6.2%) 등도 모두 상반기 대비 공실률이 증가했다. 이들 지역에선 특히 외식업종 타격이 컸다.
청담 상권의 경우 하반기 기준 공실률이 15%로 높은 편이었지만 상반기(15.4%)보다는 오히려 낮아졌다. 진원창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리서치팀장은 “최근 도산공원을 중심으로 젊은 층에게 인기가 많은 식음료와 패션 브랜드들이 잇따라 등장하며 유동 인구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했다. 코로나 속에 명품을 중심으로 한 ‘보복 소비'가 늘며 청담동 명품거리가 호황세였던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B금융 떠나는 윤종규 회장 “‘금융의 삼성’?...세계 60위권 자괴감”
- 방심위, 뉴스타파 김만배 인터뷰 인용한 KBS, JTBC, YTN에 과징금 중징계
- 코스피 넉달 만에 2500 무너져...이차전지 약세에 코스닥지수 2% 넘게 급락
- [오늘의 운세] 9월 26일 화요일 (음력 8월 12일 丁亥)
- 민주당 의원 6명 빼고 ‘이재명 구속 기각 탄원’ 동참
- 출소 3개월만에 마약 손댄 40대 남성 등 3명 실형
-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도 ‘간편 갈아타기’ 가능해져... 금융당국, ‘대환대출 인프라’ 확대
- 野이상민 “이재명 옥중공천? 민주당이 신흥 종교집단이냐”
- 이재명, 당원 추석 편지에 “역경 마다 않겠다”...2선후퇴 불가 표명
- 인천에서 동맹의 힘·국군의 위용을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