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2일차' 뉴욕증시는 혼조세 마감

이상빈 기자 2021. 1. 22. 06: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 지수는 하락했지만, S&P 500과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22포인트(0.03%) 상승한 3853.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3.67포인트(0.55%) 오른 1만3530.91에 장을 마감했다.

S&P500 지수와 나스닥은 종가도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 지수는 하락했지만, S&P 500과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1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37포인트(0.04%) 하락한 3만1176.0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22포인트(0.03%) 상승한 3853.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3.67포인트(0.55%) 오른 1만3530.91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입회장 부스에서 트레이더들이 20일(현지시간) 정부통령 취임식 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3대 지수는 모두 장중 가격 기준 신고점을 기록했다. S&P500 지수와 나스닥은 종가도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다.

시장은 조 바이든 미국 신임 대통령이 내놓을 정책과 주요 경제 지표, 기업 실적 등을 주시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낙관론이 투자 심리를 지지하는 상황이다.

우선 1조9000억 달러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크다. 여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서 새 정부가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낙관론도 확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 마스크 착용을 촉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코로나19 대응에 집중하는 중이다. 마스크와 백신 투약을 위해 필요한 물품 등의 생산에 국방물자생산법을 발동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대응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에 입국하는 여행객들에 사전 코로나19 검사는 물론 격리 의무도 부과할 것이란 견해도 밝혔다. 마스크 사용이나 백신 접종 인프라 확장, 여행객 규제 등이 코로나19 확산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결국 경제의 회복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기업 실적이 양호한 점도 주가를 지지하는 요인이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이날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 약 90%는 시장 예상을 웃도는 순익을 기록했다.

특히 넷플릭스의 양호한 실적으로 팬데믹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꼽히는 핵심 기술기업 성적표에 대한 자신감이 강화됐다. 이에따라 최근 경기 순환주로 이동했던 자금이 다시 기술주로 돌아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주가가 사상 최고치 수준으로 오른 데 따른 레벨 부담은 여전한 상황이다.팩트셋에 따르면 S&P500 지수의 미래 예상 이익 대비한 주가수익비율은 약 23배로 2000년 닷컴버블 당시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공화당에서 중도파 그룹에 속하는 리사 머코스키와 밋 롬니 상원의원이 1조9000억 달러 부양책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드러낸 점도 부담 요인이다. CNBC에 따르면 두 의원은 9000억 달러 부양책이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이 정도 규모의 추가 부양책이 필요한지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

레벨 부담 등으로 이날 나스닥을 제외한 주요 지수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날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1.32% 오르며 장을 주도했다. 에너지는 3.44% 내렸고, 산업주도 0.81% 하락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