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승용차 최대 1900만·수소차 3750만원 지원

우상규 2021. 1. 22. 0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전기 승용차를 구입하면 최대 1900만원, 수소 승용차를 사면 최대 3750만원의 보조금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게 된다.

기획재정부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무공해차(전기·수소차) 보조금 체계 개편방안'을 21일 발표했다.

긴 주행거리로 대기환경 개선 효과가 큰 전기 택시의 보급 확대를 위해 보조금 200만원을 추가 지원하고, 차고지·교대지 등에 급속충전기를 설치해 충전 편의도 대폭 향상시킬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보조금 체계 개편안 발표
2021년 전기차 12만1000대 보급
수소차 49% 늘어난 1만5000대
코나·니로·넥쏘 지원금 가장많아
전기택시 보조금 200만원 추가
이륜차에는 최소 자부담금 설정
자율주행 4단계 상용화 지원
핵심기술개발 1조1000억 투입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올해 전기 승용차를 구입하면 최대 1900만원, 수소 승용차를 사면 최대 3750만원의 보조금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게 된다. 초소형 화물차와 택시 등 상용차에 대한 보조금도 늘어난다. 다만 전기 버스는 구매자의 최소 자부담금이 1억원으로 설정됐다.

기획재정부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무공해차(전기·수소차) 보조금 체계 개편방안’을 21일 발표했다.

전기 승용차 가운데 현대자동차의 코나(PTC·HP)와 기아자동차의 니로(HP)에 대한 국고보조금이 800만원으로 가장 많다. 여기에 지자체별로 300만∼1100만원인 지방보조금을 더하면 최대 19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수소차인 현대차의 넥쏘는 국고보조금이 2250만원이며, 지자체별로 900만∼1500만원인 지방보조금을 합치면 총 지원금은 최대 3750만원이 된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이들의 수요가 높은 초소형 화물차 보조금을 지난해 512만원에서 올해 60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와 함께 화물차 전체 물량의 10%는 중소기업에 별도로 배정해 보급할 계획이다.

긴 주행거리로 대기환경 개선 효과가 큰 전기 택시의 보급 확대를 위해 보조금 200만원을 추가 지원하고, 차고지·교대지 등에 급속충전기를 설치해 충전 편의도 대폭 향상시킬 예정이다. 서울시 기준 지원액은 최대 1800만원(국비 1000만원+지방비 800만원)이다.

전기차 가격 인하와 대중화를 위해 가격 구간별로 보조금 기준을 차등화했다. 6000만원 미만 차량은 보조금 전액을 지원하고, 6000만∼9000만원 미만은 50%를 지원한다. 9000만원 이상은 보조금을 주지 않는다.
시장 합리화를 위해 전기 버스와 전기 이륜차에 대해서는 구매자 최소 자부담금을 설정했다. 전기 버스는 1억원이며, 전기 이륜차는 경형이 75만원, 소형이 115만원, 대형·기타가 130만원이다.

정부는 올해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차 13만6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전기차는 지난해보다 21.4% 늘린 12만1000대(이륜차 2만대 포함), 수소차는 49.2% 늘린 1만5000대다. 지원 예산은 전기차는 지난해 8174억원에서 올해 1조230억원으로, 수소차는 2393억원에서 3655억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아울러 전기차 충전기 3만1500기(급속 1500기+완속 3만기), 수소충전소 54기(일반 25기+특수 21기+증설 8기)도 구축한다.

한편 이날 정부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제3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열고 미래차 자율주행 4단계(Lv.4) 상용화 지원을 위해 라이다 등 센서와 통신기술 등 핵심기술 개발에 1조1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3단계 자율주행 중요기능 담당 9대 핵심부품 국산화와 후속 사업화를 추진하고, 4단계 이상의 성능시험을 위한 가혹환경 재현시설과 지역 테스트베드를 올해 안에 구축하기로 했다. 자율주행차 센서의 감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을 경부고속도로와 수도권 국도를 중심으로 1200㎞ 구축하고 2025년까지 이를 총 3만㎞까지 늘릴 예정이다.

C-ITS 통합관리센터 구축, 4단계 자율주행차 출시에 필요한 안전기준 마련과 보험체계 연구, 자율주행 데이터댐 데이터 보완에도 나선다. 아울러 6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에서 순환셔틀, 로봇택시, 공항픽업 등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이와 연계해 교통약자 이동지원, 자율주행 공유차 등 7대 자율주행 공공서비스를 개발해 올해 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세종=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