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낸 '세금'이 옆집 아저씨 '전기차'에 보태진다고?

지용준 기자 2021. 1. 22. 05: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싼 전기차 보조금이 문제라고?]② 1조원 푼다지만.. 전기차 못사는 '뚜벅이'는 웁니다

[편집자주]전기차 보조금을 둘러싼 조세 형평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전기차를 사는 이에게만 세금이 쓰인다는 것이다. 더구나 국민 세금으로 마련한 보조금이 1억원 이상의 고가 브랜드인 테슬라에 집중되면서 비판은 거세졌다. 결국 퍼주기식 정책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그럼에도 소비자는 친환경이라는 대의에 공감하면서 전기차 보조금이 올바르게 쓰이길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어떤 문제를 남겼고 올해는 어떻게 개선됐는지 살펴봤다.

테슬라 코리아가 지난 1월13일 서울 영등포구 롯데백화점 영등포점에서 '모델 Y'를 국내에서 최초로 공개했다./사진=머니투데이 김휘선 기자

“전기차를 구매하기 가장 좋은 시대에 살고 있어요.”

배충식 카이스트 공과대학장(기계공학과 교수)은 지금이 전기차 구입 적기라고 평가했다. 전기차 구매 시 여러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점과 관련 인프라도 빠르게 확충되고 있어서다. 하지만 그는 “환경을 위해 전기차 보급을 지원하는 것은 당연하나 지원금을 받아서 전기차를 사는 사람들 대부분이 고소득자라는 것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보조금 지급 이면을 들여다봤다.

그의 말처럼 전기차는 최근 몇 년 새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국토부)에 따르면 2016년 1만855대에 불과했던 국내 전기차 등록 대수는 지난해 상반기 기준 11만1307대로 무려 10배 이상 증가했다. 환경부가 책정한 전기차 보조금 예산은 해마다 늘어났다. 지난해 8173억원에서 올해에는 1조230억원으로 제도 도입 후 처음으로 1조원을 넘겼다. 

정부는 올해 12만1000대의 전기차 보급을 목표했다. 지난해 목표치 9만9650대보다 약 20% 늘어난 수준이다. 다만 목표로 삼은 전기차 보급 대수가 늘어난 만큼 대당 지급되는 국고 보조금은 줄었다.


전기차 보조금=고소득자 세금 퍼주기?


전기차 가격은 평균적으로 동급 일반 내연기관차보다 최소 1000만원 이상 비싸다. 보조금 제도가 고가 전기차 구매자에게 세금을 퍼준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는 의미가 된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우리 국민은 2.16명 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자동차 보급이 크게 늘었지만 여전히 ‘차 없는’ 국민이 절반 이상이나 된다는 뜻이다. 이들에게 전기차 보조금 제도로 인한 상대적인 박탈감이 클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보조금을 좁게 해석할 경우 전기차를 소비하는 국민에게만 수혜가 돌아가는 편향적인 제도로 읽힐 수밖에 없다.

전기차 보조금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은 과거 해외에서도 있었다. 독일 정부가 2016년 모든 전기차에 4000유로(현재 약 540만원)의 보조금 지원안을 발표하자 시민들의 거센 반대에 직면했다. 보조금이 친환경을 위해 전기차 보급 확대에 쓰인다는 점을 알면서도 보편적으로 넓게 쓰여야 할 세금이 일부에게만 혜택처럼 주어진다는 반발이었다.

결국 독일은 모든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보다 ‘차등지급’이라는 대안을 마련하면서 합의점을 찾았다. 전기차 가격이 6만5000유로(약 8690만원) 이상일 경우 보조금을 지원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보조금 정책 반발… 해외선 일찍부터 ‘차등지급’


실제로 유럽을 중심으로 전세계 다수의 국가가 전기차 보급에 공격적이다. 나라마다 전기차 보급을 위해서 펼치는 정책도 각양각색이다. 이 중 대다수의 나라가 선택한 제도는 바로 보조금 차등지급이다. 

프랑스의 경우 4만5000유로(약 6020만원) 미만 전기차에 9000유로(약 1200만원)의 보조금 혜택을 준다. 다만 6만유로(약 8030만원) 이상인 전기차에는 보조금이 없다.

중국은 주행거리와 가격을 기준으로 차등지급을 한다. 가령 주행거리 400㎞ 이상의 전기차에 2만2500위안(약 380만원)을 지급하고 300~400㎞의 경우 1만6200위안(약 280만원)을 지원한다. 30만위안(약 5090만원) 이상의 전기차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미국은 지난해부터 6만달러(약 6570만원) 이상의 전기차에도 차등지급하다가 올해부터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아예 ‘자국 내 생산 전기차’만으로 지급대상을 축소한 상황이다.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원예산./그래픽=김민준 기자



불거진 조세 형평성 논란… 테슬라만 배불렸다


이처럼 각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차등지급함으로써 ‘세금 차별’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한국은 지난해까지 모든 전기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일괄 지원했고 이 방식은 조세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반발을 불러왔다. 

한국은 올 들어 보조금 지원과 관련해 개선안을 내놨다. 6000만원 미만 전기차엔 보조금을 전액 지원하고 6000만~9000만원은 50%를, 9000만원 이상은 제외토록 보조금 정책을 바꿨다. 독일이 2017년부터 차등지급을 해온 것을 감안하면 ‘늑장대응’이라는 비판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그동안 전기차 가격별 지원기준이 없었던 한국의 보조금 지원정책은 1억원이 넘는 고가의 전기차에도 일괄 지급되는 모순을 낳았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기업 ‘테슬라’는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에서 지급된 전체 보조금의 43%를 가져갔다. 사실상 특정 해외기업과 전기차 구매 여력이 있는 일부 계층에게만 혜택이 돌아간 셈이다. 

이 같은 지적에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보조금 차등지급이 불가능했던 것은 국산차 중에서 고가 차종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보조금을 차등할 경우 수입차에 대한 ‘차별’로 인식돼 WTO(세계무역기구) 규정에 저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테슬라가 2017년 4월 국내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미리 독일처럼 대응했다면 WTO의 내국민 대우 원칙 위반을 비껴갈 수도 있었다는 추론도 나온다. 배 교수는 “전기차 보조금과 관련한 조세 형평성 문제는 확실히 존재한다”며 “너나 할 것 없이 모두가 내는 세금으로 특정한 사람에게만 혜택을 주는 것은 사실상 불평등하다”고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머니S 주요뉴스]
'노브라' 치과의사의 농염美… 소파에서 묘한 포즈
'장동건♥️' 고소영, 디즈니 공주님인줄… 너무해
"사진 찍지 마"… 흘러내리는 속옷에 '당황'
고준희, 8등신 몸매 자랑… 마네킹이야?
"너무 커서 밥 먹을 때 불편해"… E컵 女의 셀카
눈사람 분장하고 람보르기니 몰다가 쾅!… 누구?
40대 김과장도 희망퇴직… 퇴직금이 8억원?
“자식 탓 말아야”… 송해 아들 사망 고백하며 '눈물'
5년 만에 돌아온 에이미 "연예활동 계획은…"
여에스더, 홍혜걸과 별거… 이유는 OOO 때문?

지용준 기자 jyjun@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