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석의 뉴스 품은 책] 3포세대는 알까? 전염병보다 더 위험한 인구감소

2021. 1. 22. 05: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창원시가 셋째를 출산하면 1억원을 지원하는 일명 '드림론'을 도입한다.

저자들은 먼저 인구 감소의 원인을 분명하게 짚고 넘어간다.

과거 인구 감소는 자연재해, 전염병, 전쟁 등 특별한 원인이 있었지만, 오늘날 인구 감소의 단 하나의 원인은 경제적 양극화라는 것이다.

책은 한국을 비롯한 각 나라가 처한 인구 감소 상황을 소상하게 밝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텅 빈 지구/대럴 브리커·존 이빗슨 지음/김병순 옮김/을유문화사/368쪽/1만 6500원

[서울신문]

경남 창원시가 셋째를 출산하면 1억원을 지원하는 일명 ‘드림론’을 도입한다. 신혼부부가 1억원을 대출받고 첫째를 낳으면 이자 면제, 둘째는 대출원금 30% 면제, 셋째는 1억원 전액을 탕감해 준다. 지난해 11월 기준 창원 인구는 103만명이고, 매달 500명 이상 줄고 있다. 인구가 100만명 아래로 떨어지면 특례시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 창원의 다급한 대책인 셈이다. 충북 제천시도 대출형 출산장려금을 시행했다. 출산축하금을 주는 지방자치단체는 이미 여러 곳이다. 인구 감소는 지자체의 존폐를 논할 만큼 절박한 문제다.

여론조사 전문가 대럴 브리커와 정치분석가 존 이빗슨의 ‘텅 빈 지구’는 인구 감소가 가져올 전 세계적 파국에 관한 날카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인류는 인구 급증을 걱정했다. 우리나라 산아제한 표어만 봐도 알 수 있다. 1970년대 “둘만 낳아 잘 기르자”는 표어는 양반이었다. 1960년대 산아제한 표어 “덮어 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는 가히 저주에 가깝다.

저자들은 먼저 인구 감소의 원인을 분명하게 짚고 넘어간다. 과거 인구 감소는 자연재해, 전염병, 전쟁 등 특별한 원인이 있었지만, 오늘날 인구 감소의 단 하나의 원인은 경제적 양극화라는 것이다.

최근 젊은 세대가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는 출산, 양육, 교육으로 이어지는 모든 과정에서 막대한 돈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출산과 양육을 돈 때문에 포기하는 게 말이 되냐는 한가한 소리를 할 때가 아니다. 살 만한 나라에서만 일어나는 일도 아니다. 중동과 아프리카에서도 출산율이 꾸준히 감소한다. 선진국 모범을 따라 경제 발전에 올인한 개발도상국들은 도시화가 가속된다. 아이들이 노동력의 한 축이었던 때는 농사나 지을 때였다. 도시 아이들은 양육비와 교육비가 얼마나 들지 알 수 없는 부양가족 중 하나다.

책은 한국을 비롯한 각 나라가 처한 인구 감소 상황을 소상하게 밝힌다. 저자들이 세계 곳곳을 직접 발로 뛰며 썼기 때문이다. 인구 감소에 대응할 수 있는 이렇다 할 처방을 제시하진 않는다. 세계가 이미 답을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양극화를 가져오는 수많은 상황을 완화하는 일, 하여 모든 사람이 저마다 가치로 인정받는 세상이 오면 인구 감소 문제는 해결될 수도 있다. 코로나19의 위협이 언제 사라질지 알 수 없지만, 앞으로 우리 앞에 이보다 더한 파국이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출판도시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