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톺아보기] 인구와 인구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인구'와 '인구수'가 올림말로 나온다.
'인구'만으로도 사람 수를 뜻하기 때문에 '인구수'는 동어반복이 있는 말이다.
'세상 사람들의 입'으로 혼동될 소지가 아예 없고 '일정 지역이나 범주에 속하는 사람 수'만을 가리킬 수 있기 때문에, 인구 통계 분야에서는 '인구수'가 '인구'보다 좀 더 적합하게 쓰일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인구'와 '인구수'가 올림말로 나온다. '인구'만으로도 사람 수를 뜻하기 때문에 '인구수'는 동어반복이 있는 말이다. 그런데 우리가 국어 생활을 할 때 '역전앞'이라는 표현은 '역전'이나 '역 앞'으로 고쳐 쓰는 일이 흔하지만, '인구수'는 굳이 '인구'로 고쳐 쓰는 일이 드물다. 왜 그럴까?
'인구에 회자되었다'라는 문맥의 '인구'(세상 사람들의 입)는, '인구 집중, 인구 감소'와 같은 문맥의 '인구'(일정 지역에 사는 사람 수)나 '어업 인구, 이농 인구'와 같은 문맥의 '인구'(어떤 일이나 범주에 속하는 사람의 수)와는 사뭇 다른 뜻으로 쓰이고 있다. '세상 사람들의 입'으로 혼동될 소지가 아예 없고 '일정 지역이나 범주에 속하는 사람 수'만을 가리킬 수 있기 때문에, 인구 통계 분야에서는 '인구수'가 '인구'보다 좀 더 적합하게 쓰일 수 있다.
'인구'와 '인구수'처럼 비슷한 말(유의어) 관계인 말로는 '빈도'와 '빈도수'도 있다. '빈도'는 잦기를 뜻해서 '빈도 측정, 고빈도, 저빈도'처럼 쓰인다면 '빈도수'는 '빈도를 표현하는 수치' 자체를 뜻하여 '빈도수 20 이상 30 미만'처럼 쓰인다. "연구팀은 1,190명을 대상으로 음식 36종을 1년 동안 섭취한 빈도를 조사해 세 유형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을 빈도수로 다섯 개 그룹으로 구별했다"라는 예문처럼 빈도와 빈도수가 한 문장 안에 조화롭게 쓰이기도 한다.
언어 생태계 속에는 '인구/인구수', '빈도/빈도수'처럼 의미가 겹쳐서 경쟁하면서도 공생하는 동의어인 듯한 유의어들이 존재한다.
김문오 국립국어원 어문연구과장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이 기재부 나라냐!" 정세균 '버럭'에 움찔한 김용범 차관
- "원금도 같이 갚아!" 당국 주문에...고액 대출자들 '덜덜'
- '두개골 골절' 생후 47일 영아 사망… 부부 "술 취해 기억 안 나"
- '바이든 그림자' 그 한국 남자 누구?... 경호총책 한국계 데이비드 조
- 나경원 "쉬운 선거 한번도 없었다… 패트 투쟁 지금도 옳다 생각"
- “일본에서 태어나 다행”이라는 젊은이들, 우경화 징조일까
- 이재명, 대선 후보 지지율 독주...이낙연·윤석열 2배 이상 앞서
- 첫발 뗀 공수처... 김진욱 "오만한 권력 안 되겠다"
- 설 연휴 전에 코로나 백신 접종...화이자 백신될 듯
- 윤서인이 비하한 독립운동가 시골집 "내가 조병진의 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