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제9회 응씨배 세계프로바둑선수권전.. 초반 승기를 잡다

2021. 1. 22. 03: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변상일 9단은 국내 랭킹 3위.

2001년생인 쉬하오훙 6단에게 이 대국을 진 게 국내 바둑팬에겐 뜻밖이지만, 쉬 6단은 이미 '떠오르는 샛별'로 자리 잡았다.

참고도는 쉬 6단이 초반에 승기를 잡는 모습이다.

이후 쉬 6단의 빈틈없는 운영이 돋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변상일 9단 ● 쉬하오훙 6단
본선 28강 6국 총보(1∼233)
변상일 9단은 국내 랭킹 3위. 2001년생인 쉬하오훙 6단에게 이 대국을 진 게 국내 바둑팬에겐 뜻밖이지만, 쉬 6단은 이미 ‘떠오르는 샛별’로 자리 잡았다. 미리 밝히자면 지난해 응씨배와 춘란배에서 8강에 올랐는데, 대만 기사가 세계대회 8강에 오른 건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참고도는 쉬 6단이 초반에 승기를 잡는 모습이다. 변 9단이 백 1(실전 52)로 패를 건 뒤 3으로 팻감을 썼다. 흑이 7의 곳에 두기를 바란 것. 여러 변화가 있지만 백이 걸려들게 된다. 여기서 쉬 6단은 흑 4로 물러서는 수를 발견했다. 이상해 보이지만 백의 의도를 분쇄시키는 묘수. 백 7까지 좌변 실리는 내주었으나 흑 10, 12로 상변 백 대마를 공격하게 돼 국면의 주도권을 확실히 잡았다. 이후 쉬 6단의 빈틈없는 운영이 돋보였다. 140 150 164 169=126, 147 153 167=131, 225=187, 226=189. 233수 끝 흑 불계승.

해설=김승준 9단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