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해원의 말글 탐험] [134] ‘았’이 왜 거기서 나와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피아노에 이어지는 하모니카 반주(伴奏). 기백 번 들었건만 노래 끝나도록 가수 이름이 안 떠오른다. 분명 ‘조’씨인데, 조지 오웰? 조지 클루니? 이런 뚱딴지 같으니. 기억 들쑤시다 끝내 제목 검색으로 알아내야 했다. 빌리 조엘. ‘조’가 이름자 아닌 성(姓)에 있어 헤맬밖에. 앞뒤 바뀌어 꼬인 모습, 말글살이에서도 본다.
“이 사건을 원도 끝도 없이 수사했지 않습니까.” 어느 장관이 국정감사 때 했다는 이 말, 어디가 꼬였을까. ‘수사했지’의 ‘았’ 위치다. 이 문장 같은 ‘본용언(수사하다)+보조용언(않다)’ 형식에서 시제의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는 뒷말에 붙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수사하지 않았습니까’가 어법에 맞는다. ‘예보한 폭설은 내렸지 않고’가 아니라 ‘내리지 않았고’처럼.
이런 엉터리 한국어가 영향력 큰 활자 매체에 실제 오르내린다. ‘명령이 확인됐지 않나’(→확인되지 않았나) ‘청탁을 주고받았지 않은가’(→주고받지 않았는가)…. 이렇듯 주로 의문형에서 나타나는 까닭이 뭘까. ‘줄었지 않다(→줄지 않았다)’ ‘어렵겠지 않네(→어렵지 않겠네)’ ‘갔지 않으면(→가지 않았으면)’같이 다른 형(形)에서는 틀리는 표현임을 쉬 알 수 있기 때문일 듯하다.
요즘 젊은 층이 이런 말 흔히 한다. “경치가 좋았어서 (또 갔다).”(1) “걸어가면 늦겠어서 (택시 탔다).”(2) 1의 ‘았’은 어미 ‘어서’와 어울릴 수 없다. ‘또 갔다’를 생략하든 말든 ‘좋았어서’의 ‘았’은 빼야 한다. 2의 ‘겠’도 ‘어서’에 붙을 수 없다. 이때는 ‘늦겠기에’ ‘늦을까 봐’ 하면 된다.
알쏭달쏭한 현상도 있다. ‘일이 힘들었잖아’ ‘결국 이겼잖아’…. ‘~지 않아’를 줄인 형태 ‘잖아’에 ‘었(았)’이 붙으면 유독 자연스러워 보이는 것이다. ‘힘들었지 않아’ ‘이겼지 않아’처럼 풀어 쓰면 도로 어색해진다. ‘힘들지 않았어’ ‘이기지 않았어’가 맞는 말이니까. 잔뜩 꼬인 우리말, 골치 아프다. 노래나 들읍시다 ‘피아노 맨’. /글지기 대표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청천벽력
- “판단은 동양 바닐라” 맨해튼 카페 점령한 달콤한 ‘판단 간식’
- [단독] 정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전원 배상 추진
- [단독] 이주호·김택우 비공개 만남… 의대 감원 수순 밟나
- 이스라엘 인질 1명당 팔 수감자 22.3명 석방… 교환比 왜 차이 나나
- [TV조선] 데뷔 10년차 무명가수 정체
- [단독] “이재명, 위증 이후 위증범 인사 청탁 들어줬다”
- 휴전 첫날, 이스라엘 인질 33명 중 여성 3명 풀려났다
- [단독] 北 추가 파병하나… 러 국방차관, 비밀리에 방북
- 모자 쓴 멜라니아와 이방카… 취임식 씬스틸러 등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