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모의창의적글쓰기] 소설 '페스트'와 전염병 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카뮈의 '페스트'를 다시 읽었다.
소설 속 상황이 1년 가까이 지속된 코로나 상황과 유사했기 때문이다.
소설 속에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비극적 상황이 불현듯 찾아왔다는 점이다.
카뮈의 페스트는 이런 부조리함 속에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잘 대답해 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설 속에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비극적 상황이 불현듯 찾아왔다는 점이다. 어느 날 갑자기 쥐들이 떼를 지어 죽어가고, 페스트가 도시에 만연한다. 사람들은 손쓸 틈도 없이 무방비로 죽어가고 치료할 방법도 없다. 오랑 시 의사들의 말대로 전염병은 “속수무책”으로 다가온 것이다. 흥미롭게도 여기서 소설은 인간의 인식이 얼마나 자기중심적인 것인가를 지적하고 있다. 재앙이 다가왔지만 사람들은 사업을 지속하고, 여행을 떠날 준비를 한다. 재앙이 악몽이 아니라 실재적인 현실임을 모르는 것이다. 전염병이 선언되고 난 이후에서야 사람들은 비로소 재앙이 자신들에게 다가온 구체적 삶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재앙이 있지만 재앙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은 역설적이게도 부조리한 세계에 던져진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소설 ‘페스트’는 재앙이 존재론적 조건이 되었을 때 너희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를 우리에게 물어보고 있다.
페스트는 전염병으로 인한 삶의 고통과 절망을 우울한 우화로 우리에게 보여주지만 우리에게 살아갈 방향도 함께 제시해 준다. 카뮈의 부조리 사상은 우리가 미처 인식하진 못하지만 우리 삶 자체가 재앙이고 부조리한 것을 직시하라고 말한다. 내가 생각하는 삶은 평온하고 합리적인 것이지만 바깥의 현실은 부조리하고 비합리적이다. 우리는 그 간극의 사이를 살아가고 있다. 지금과 같은 감염병 시대의 삶이 이러한 삶의 간극과 부조리한 삶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지는 않은가 한다. 카뮈의 페스트는 이런 부조리함 속에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잘 대답해 준다. 그것은 소설 속 주인공 리유와 타루처럼 절망과 고통 속에서도 인간으로서 해야 할 도리를 다하는 것, 그리고 삶의 희망을 잃지 않고 타인과 연대하면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것이다.
정희모 연세대 교수·국문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