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설 앞두고 밥상물가 급등세, 당국 면밀한 관리 필요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39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3.78로 전달보다 0.7% 올랐다.
소비자 식탁에 자주 오르는 먹거리 가격이 치솟으면서 생산자물가를 밀어올렸다.
생산자물가란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도매물가를 말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39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3.78로 전달보다 0.7% 올랐다. 월간 상승률 기준으론 2017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소비자 식탁에 자주 오르는 먹거리 가격이 치솟으면서 생산자물가를 밀어올렸다. 딸기는 지난달 한달 동안에만 가격이 두 배 이상 치솟았다. 오이는 59.6%, 사과는 21.3% 각각 올랐다. 기온이 평년 대비 크게 떨어져 생산량이 줄어든 탓이 크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패턴이 변화한 것도 가격을 올려놓았다. 생산자물가란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도매물가를 말한다. 통상 한 달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새해 들어서도 밥상 물가는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식탁의 단골메뉴인 계란 가격이 천정부지다. 최근 계란 30개 들이 한판 값은 평균 6500원대로 1년 전보다 1000원 넘게 올랐다. 이렇게 밥상물가가 오르면서 가계의 주름살도 깊어지고 있다. 일자리를 잃거나 소득도 줄어드는 상황에서 피부에 확 와닿을 정도로 물가가 너무 많이 오르니 장보기가 겁날 정도다. 집어 든 채소를 고심 끝에 다시 내려놓기 일쑤다. 여기에 전·월세 가격상승에 따른 주거비용 급증도 서민들을 압박하고 있다. 이렇듯 사회적 약자층의 고통이 커지고 있어 걱정이다.
물가가 뛰면 그 부담은 결국 서민들이 안게 된다. 따라서 물가를 시장에만 맡겨 놓을 수는 없다. 코로나19 방역도 물론 중요할 테이지만 서민 생활에 타격을 주는 밥상물가 급등세도 잡아야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다. 당장 서민들은 설 상차림부터 걱정하고 있다. 설 성수품 가격이 급등해 명절 음식준비가 상당히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손놓지 말고 가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시기적절하게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공급부족 품목은 비축물량을 풀거나 수입을 해 가격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매점매석하는 상인들은 엄벌해야 한다. 서민가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당국의 면밀한 물가관리가 어느 때보다 화급하다. 이는 전 국민 재난지원금 같은 포퓰리즘적 지원책보다 더 중요한 일이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역주행` 채민서 벌써 4번째 음주운전…2심도 집행유예
- "서울엔 살 집이 없다"…서울시민, 작년 `지방 아파트 쇼핑` 최다
- 드디어 입 연 이휘재…"층간소음, 너무 부주의했다" 공식 사과
- "월소득이 731만원인데"…공공임대주택이나 살라는 정부
- 허경영, `무보수` 서울시장 출마…"연애·결혼공영제 실시"
- 트럼프 `세금전쟁` 포문… 美불리 과세국 보복 검토 지시
- "이재명 상대로 해볼만"… 민주 지지율 떨어지자 몸푸는 與野 잠룡들
- 점점 풀리는 그린벨트… 파크골프장도 설치 허용
- 전기차 캐즘에 배터리 하청업체들부터 `휘청`
- 최악 적자에도 주가 급등… `목욕통`에 들어간 현대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