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정보화사업 1045건에 3213억원 투입

한기호 2021. 1. 21. 19: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올해 정보화 사업 총 1045건에 3213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 중 스마트도시 분야 220건 사업에 1263억원을 쏟아 붓는다.

21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년도 정보화 사업은 유형별로 △시스템구축 72건(568억원) △전산장비와 솔루션 도입 166건(734억원) △소프트웨어(S/W)개발 65건(170억원) 등이 수행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투입예산 약 40% 스마트도시 분야 쏠려
CCTV·와이파이·사물인터넷 집중
1분기에만 1045건 중 476건(46%) 조기집행
2021년도 서울시 정보화 사업 총 1045건(사업비 3213억원)의 유형별 현황. [자료=서울시]

서울시가 올해 정보화 사업 총 1045건에 3213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 중 스마트도시 분야 220건 사업에 1263억원을 쏟아 붓는다.

21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년도 정보화 사업은 유형별로 △시스템구축 72건(568억원) △전산장비와 솔루션 도입 166건(734억원) △소프트웨어(S/W)개발 65건(170억원) 등이 수행된다. 기관별로는 △서울시 355건(1562억원) △25개 자치구 532건(902억원) △투자·출연기관 158건(749억원)이다. 전체 사업의 46%에 해당하는 476건이 올해 1분기 중 발주되며, 2분기 108건(10%)까지 절반 이상이 상반기 조기집행된다.

투입 예산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스마트도시 분야는 △폐쇄회로(CC)TV 69건(316억원) △와이파이(WiFi) 8건(241억원) △사물인터넷(IoT) 30건(234억원) △지리정보시스템(GIS) 15건(122억원) △비대면 30건(117억원) △빅데이터 26건(99억원) △클라우드 2건(65억원) △모바일 24건(31억원) △인공지능 13건(31억원) △블록체인 3건(7억원) 등이다.

시는 이번 정보화사업에 한국은행 취업유발계수를 적용하면 3245개 일자리가 창출돼 코로나시대에 감소하는 청년일자리를 확보하고 중소 ICT기업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의 재화를 생산할 때 창출되는 취업자 수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전산업 취업유발계수는 10.1명이다. 사업 내용과 발주일정 등에 관한 사항은 '2021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발주 정보(http://info.seoul.go.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현재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산업생태계 변화와 코로나 팬데믹으로 시민일상의 변화를 마주하고 있다" 면서 "최신 스마트기술을 적시적소에 적용해 시민 안전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한기호기자 hkh8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