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SAT 개정..에세이·선택과목 폐지

황대훈 기자 2021. 1. 21. 18: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BS 저녁뉴스]

오늘 글로벌뉴스브리핑에서는 미국 SAT 시험에 일어난 큰 변화를 간단히 짚어봅니다. 

선택과목과 에세이 시험을 폐지하기로 한 건데요.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고요.

이어서 중국이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성씨가 사라져 가고 있다는 내용 소개해드립니다. 

유나영 아나운서

황 기자, SAT 시험관련 소식부터 소개해주시죠.

황대훈 기자

네, 미주중앙일보에서 보도한 내용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19일, 미국 대학입학표준시험인 SAT를 주관하는 컬리지 보드가 SAT 시험 개정 방안을 발표했는데요. 

선택사항이던 에세이 시험을 없애기로 했고요.

SAT2 라고 해서 본시험에다 추가로 20개 정도 선택과목을 치르는 과목 시험이 있는데 이 시험 전체를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이 SAT2 시험에는 한국어 과목도 있어서 한국 학생들이 미국 대학을 갈 때 성적으로 제출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SAT 2 시험에 한국어가 포함된 지 26년 만에 과목 자체가 없어지게 됐습니다. 

시험도 종이와 연필로 치르는 방식에서 디지털로 바꾸기로 했고요.

시험 내용도 대폭 개정하겠다면서 4월에 구체적인 내용을 내놓겠다고 했습니다. 

코로나19 상황 속에 미국 대학들이 SAT 점수를 반영하지 않겠다고 발표하기도 했고, 방역 문제 때문에 시험 응시 건수도 줄고 있었는데요.

이런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유나영 아나운서

알겠습니다. 

SAT 폐지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저희 취재진이 추가로 정리해서 내일 보도해드리겠습니다. 

중국 이야기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 같은 한자 문화권은 영어권 국가들에 비하면 성씨가 많지 않은데 최근 더 많은 성씨가 줄어들고 있다구요?

황대훈 기자 

네, CNN이 기획취재한 내용인데요. 

원래 제목을 보면 "왜 12억 중국인들이 100개의 성씨만 쓸까"입니다. 

우리나라에 김, 이, 박, 최, 정 이렇게 다섯 성씨가 가장 많은 것처럼 중국도 왕, 리, 장, 리우, 첸 이렇게 다섯가지 성씨가 제일 많다고 하는데요. 

중국 정부에 따르면 전체 인구 30퍼센트인 4억3천만명이 이 다섯 개 성씨에 속합니다. 

저희도 김이박최정 하면 50퍼센트가 넘죠. 

중국 사회안전부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성씨는 약 6000개 정도 뿐이라고 합니다. 

이 가운데 전체 인구의 86퍼센트가 100개 성 씨 안에 다 들어옵니다. 

영미권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숫자인데요. 

미국은 중국보다 인구는 4분의 1밖에 안 되지만 성씨는 630만개가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2010년 기준으로요. 

1000배가 넘는 겁니다. 

이건 일단 언어적인 배경이 크죠. 

영어는 글자 몇개만 다르게 해도 계속 성씨가 달라지는데 중국어는 정해진 한자가 있기 때문에 성씨가 마구 늘어나진 않습니다. 

또 인종도 하나의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미국에서는 소수인종들이 적극적으로 성씨를 다양하게 늘리는 경향이 있는데 중국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죠. 

그리고 확률적으로 봐도 부계 사회에서 역사가 오래된 나라일수록 성씨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남자 대가 끊기면 성씨가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죠. 

중국 성씨의 역사가 유럽, 미국보다 오래 됐기 때문에 자연감소한 양도 크다는 설명입니다. 

유나영 아나운서

그렇다면 성씨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설명이 되는데, 최근에 성씨가 줄어드는 이유는 이런 게 원인이 아니라, 디지털 기술 때문이라고요?

황대훈 기자

그렇습니다. 

이게 새로운 부분인데요. 

예전에는 좀 드물거나 흔치 않은 성씨를 가진 사람이 자기 성씨를 쓸 때 손으로 써서 보여주면 됐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컴퓨터 입력된 한자를 써야 합니다. 

그런데 모든 한자가 컴퓨터에 등록돼 있지가 않아서 문제인 거죠.

중국 정부에 따르면 몇 년 전까지 3만 2천개 정도 한자가 등록돼 있었고, 이걸 7만개까지 끌어올렸는데 앞으로 몇 만 개를 더 추가해야 한다고 합니다. 

중국도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대부분의 업무를 모바일로 처리하는데 자기 이름이 한자로 검색이 안 되면 굉장히 힘들겠죠. 

이런 어려움을 겪는 인구가 6천만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거기다 2004년부터 디지털 신분증이 도입됐는데요. 

자기 이름 한자가 검색이 안되면 공무원들이 이름을 바꾸라고 요구한다고 해요. 

산둥성 동부 지방의 한 마을에서는 2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샨 이라는 성씨를 쓰고 있었는데 신분증 발급이 안 된다고 이 사람들의 성씨를 모두 시안이라는 더 흔한 성씨로 바꿔버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성씨를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자신의 정체성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굉장히 큰 심리적 타격을 받게 되죠. 

중국 정부는 2013년에 통용규범한자표라는 것을 도입해서 가급적 이 한자를 활용해서 교육, 언론, 컴퓨터 같은 사회 전반에 적용하려 하고 있는데요. 

언어를 표준에 맞춰 통일시키려는 정책 의도가 예상치 못한 문제점도 발생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