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슈퍼 부양책, 국내 증시 영향은

강수윤 2021. 1. 21. 14: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기적 국내 지수 상승 동력
파리기후협약 친환경주 수혜
대외정책, 미중 갈등 변수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3114.55)보다 8.72포인트(0.28%) 오른 3123.27에 개장한 21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2021.01.21.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강수윤 기자 = 국내 증시가 급등 후 숨고르기에 장세에 들어간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이 46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국내증시에 상승 동력을 줄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20일(현지시간) 대규모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속에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는 0.83%(257.86포인트) 오른 3만1188.38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39%(52.94포인트) 상승한 3851.85로 장을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7%(260.07포인트) 뛴 1만3457.25에 폐장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미국 뉴욕 증시의 사상 최고치 기록에 힘입어 오전 11시7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3114.55) 대비 20.60포인트(0.66%) 오른 3135.15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1일 장중 3200을 돌파했던 코스피는 열흘새 3000까지 6% 하락했다가 3100선을 회복했다. 전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3092.66)보다 21.89포인트(0.71%) 오른 3114.55에 마감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2893억원, 9조6027억원을 순매도 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10조7260억원을 순매수해 지수 하락을 방어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15일 현금 추가지급과 실업수당 지원금 확대, 기간연장 등의 방안이 담긴 1조9000억 달러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경제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대선 공약 등을 통해 취임 이후 신재생 에너지 등 친환경 정책 확대를 표명해온 바 있다.

증권가에선 바이든의 슈퍼부양책 효과가 단기적으로 국내 지수에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시장에서 가장 관심 있는 것은 공화당과 다르게 민주당은경기 충격 코로나 관련된 양극화에 대해 큰 규모의 재정정책을 펴야해서 한국에는 좋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통합을 주장하고 트럼프 극렬 지지자들도 와해되는 분위기 정치적 안정이 예상돼 시장에도 안심을 준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3114.55)보다 8.72포인트(0.28%) 오른 3123.27에 개장한 21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2021.01.21. 20hwan@newsis.com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바이든 정부의 경기부양책은 의회를 통과해야 하지만 지난 조지아주 상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2석을 모두 가져가며 블루웨이브가 현실화된 만큼 통과 가능성이 높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공식 출범하면 정치적 불확실성은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이 파리기후협약 재가입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면서 친환경 관련주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한 연구원은 "바이든 행정부가 처음으로 서명할 행정명령에 따라 업종별 차별화가 뚜렷해질 전망"이라며 "친환경 업종, 금리상승에 따른 금융주, 인프라투자 확대 기대감에 따른 관련 업종, 경기부양책 규모에 따른경기 민감업종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바이든 취임 후에도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갈 지는 미지수다. 중국에 대한 바이든의 정책이 증시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박성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주식시장 입장에서 경제 정상화 이전까지는 대체로 나쁘지 않은 정책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임기 초반 출시될 우호적 정책 효과 때문"이라며 "오히려 경제가 정상화되는 시점인 올해 하반기를 전후해 힘이 약화되는 시기에 위험 요소들이 여러가지 부각될 수 있다고 본다. 미·중 갈등 요인 부각 등이 그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센터장은 "백신 접종이 완료되고 경기가 정상화 되면 금리 인상까지는 아니더라도 본격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했던 각종 대외정책, 세금정책 변화를 줄 수 있다"면서 "정책이 반영되기 시작하면 시장이 조금 숨을 고를 가능성이 있다. 단기적으로는 좋은데 중장기적으론 부담스러운 요인이 있다"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ho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