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 지수, 부산·광주 '최상' 서울은 '중상'..최하위는?

정지은 2021. 1. 21. 12: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9년 국가성평등지수가 역대 가장 높은 73.6점을 기록했다.

여성가족부는 2019년 국가성평등지수가 전년(73.1점)보다 0.5점 높은 73.6점을 기록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국가성평등지수는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을 계량화한 지표다.

여가부는 국가성평등지수 개편도 추진 중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9년 국가성평등 지수 73.6점..역대 최고지만 '격차 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19년 국가성평등지수가 역대 가장 높은 73.6점을 기록했다. 양성평등에 대한 관심이나 이해가 전반적으로 예년보다 개선됐다는 평가다. 그럼에도 세부 분야별 격차가 크다는 점은 풀어가야 할 과제로 꼽힌다.

여성가족부는 2019년 국가성평등지수가 전년(73.1점)보다 0.5점 높은 73.6점을 기록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국가성평등지수는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을 계량화한 지표다. 성비가 완전 평등한 상태를 100점 만점으로 한다. 여가부는 2010년부터 매년 국가 및 지역의 성평등 정도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2011년 67.8점을 시작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2015년(70.5점) 처음 70점을 넘어선 데 이어 71.4점(2016년), 72.2점(2017년), 73.1점(2018년) 등을 기록했다.
 
각 분야별로는 점수 격차가 크게 벌어진다. 건강 관련 지표인 보건 분야가 95.7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의사결정 분야는 38.1점으로 전년대비 1.9점 올랐지만, 8개 분야 중 최하위에 그쳤다. 의사결정 분야는 국회의원 성비(19.4점), 4급 공무원 성비(33.3점), 관리자 성비(24.2점), 정부위원회 위촉직 성비(75.4점) 등으로 구성된다.

전년대비 가장 큰 폭으로 점수가 떨어진 분야는 문화·정보다. 문화·정보 분야는 전년보다 1.2점 줄어든 86.2점을 기록했다. 여가시간 성비(72.1점), 여가만족도 성비(95.9점), 성별정보화격차(90.7점) 모두 전년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지역성평등지수는 76.4점으로 전년(75.7점)보다 0.7점 상승했다. 전국 16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상위’ 등급을 받은 곳은 △광주 △대전 △부산 △제주다. △경기 △대구 △서울 △충북은 ‘중상위’로 평가됐다. ‘하위’ 등급 4곳은 △경남 △경북 △전남 △충남이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의사 결정 분야를 비롯 모든 분야의 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할 계획”이라며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여가부는 국가성평등지수 개편도 추진 중이다.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고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