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경 보험연구원장 "디지털전환, 상품 등 구조개혁 필요"

전혜영 기자 2021. 1. 21.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험연구원이 올해 보험회사들의 경영혁신 촉진과 경영투명성 강화에 관한 연구에 집중한다.

우선 보험사의 사업모형 혁신을 위해 △디지털 보험회사 진입·활성화 △알고리즘 감독 등 디지털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 △온라인 보험서비스 등 경쟁촉진 △AI(인공지능)활용 △판매채널 관점에서 사업모형 혁신 관련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밖에 시장 현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올해 새롭게 ESG연구센터와 모빌리티보험센터를 추가해 운영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이 올해 보험회사들의 경영혁신 촉진과 경영투명성 강화에 관한 연구에 집중한다. 보험 현장과 동떨어지지 않는 연구를 하기 위해 ‘ESG연구센터’와 ‘모빌리티보험센터’를 추가 운영한다.

안철경 원장은 21일 비대면 기자간담회를 통해 "보험산업의 핵심 도전과제는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인 협력모델 구축"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 경제활동이 일상화되면서 설계사 등 대면채널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보험회사가 소비자와의 접점을 어떻게 유지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안 원장은 "데이터와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전개되는 환경에서 비용절감 위주 디지털화와 대면채널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보험산업이 디지털 비대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상품, 채널, 자본 등에서 상당한 구조개혁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연구원의 올해 연구방향으로는 ‘협력적 경쟁’과 ‘경영혁신’을 제시했다.

우선 보험사의 사업모형 혁신을 위해 △디지털 보험회사 진입·활성화 △알고리즘 감독 등 디지털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 △온라인 보험서비스 등 경쟁촉진 △AI(인공지능)활용 △판매채널 관점에서 사업모형 혁신 관련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경영 투명성을 제고를 위해 △런오프(run-off) 도입 △예금보험제도 개선 △신지급여력제도(K-ICS) 로드맵 구체화 △기후변화위험관리 등 계약이전인프라 구축 △선제적 위험관리 △이해관계자 경영 촉진 관점에서 보험경영의 투명성과 건전성 강화 연구를 추진한다.

또 자연재해, 팬데믹에 따른 기업휴지, 사이버위협 등 사회안전망과 실물경제 기여도를 높일 수 있는 민·관 협력모델 연구도 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 비대면 환경의 소비자 행태, 손해사정제도 개선, 분쟁조정 개선 등 소비자 이해와 이에 기초한 소비자 보호 연구도 추진한다.

이밖에 시장 현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올해 새롭게 ESG연구센터와 모빌리티보험센터를 추가해 운영한다. 기존에 운영 중인 산학연구센터를 통해서는 산업 간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현안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관련기사]☞ 에이미 5년전 옷 입고 입국…손엔 1600만원대 가방강원래 "방역은 꼴등" 토로에 화난 친문, 이런 말까지…3살 아이에 15분간 물 7컵…'식고문'한 어린이집친구 딸 샤워 중인데 옷 벗고 들어가 "나도 나를 어쩔 수 없어"식당서 성희롱 당한 BJ 감동란…"티팬티 입었나"
전혜영 기자 mfutur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