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바이드노믹스..미중 갈등에 韓경제 '줄타기'

장가희 기자 2021. 1. 21. 11:3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새로운 경제 정책, 이른바 바이드노믹스도 본격적으로 가동됐습니다.

미국의 대중국 강경 기조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지 장가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 세 번째로 사인할 문서는 제가 공언한 파리 기후협약 재가입 행정명령입니다.]

바이드노믹스의 핵심 축 가운데 하나는 친환경 정책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 기후협약에 재가입하고 에너지 전환,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에 4년간 2조달러를 투입할 계획입니다. 

특히 친환경차 산업에 집중 투자가 예상되고 있어, 전기차 배터리와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에게는 호재라는 분석입니다. 

2천조원 규모의 통 큰 부양책도 우리 경제에는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경기부양으로 소비가 늘고 글로벌 교역이  회복되면 대미 수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올라 수출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바이든 시대에도 바뀌지 않는 건 강경한 대중 견제기조입니다. 

대중국 무역 의존도가 25%에 달하는 우리 경제는 미중 통상마찰시 수출에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다자주의와 동맹 강화를 강조하는 바이든 정부가 대중국 포위망 구축에 한국의 참여를 강조한다면 난처한 입장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함으로써 다자무역 질서가 보다 회복되고 자유무역의 여지가 더욱 확장될 수 있지만 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은 근본적으로 지속될 가능성 높기 때문에 우리 입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다자간 통상규범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CPTPP에 선제적으로 가입해야 한다고 밝혔지만, 미국이 아직 재가입 여부를 밝히지 않았고, 자칫 무역 수지 흑자 폭만 줄어들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SBS Biz 장가희입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