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식으로든 돌아오겠다"는 트럼프..핵가방 들고 떠났다

장연제 동아닷컴 기자 2021. 1. 21. 09: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에게 대통령 권한을 이양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핵가방'(nuclear football)은 넘겨주지 않고 백악관을 떠났다.

핵가방은 취임식에서 새 대통령에게 넘겨지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식에 참석하지 않으면서 '핵 공백' 사태가 일어났다.

핵가방은 여러 개 존재하며 이날 취임식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전달된 핵가방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가져간 것과는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매체는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 AP 뉴시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에게 대통령 권한을 이양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핵가방’(nuclear football)은 넘겨주지 않고 백악관을 떠났다. 핵가방은 취임식에서 새 대통령에게 넘겨지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식에 참석하지 않으면서 ‘핵 공백’ 사태가 일어났다.

20일(현지 시간) NBC뉴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례를 깨고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에 불참한 채 플로리다로 향했다. 당시 아직 대통령 신분이었던 트럼프 전 대통령은 늘상 그렇듯 핵가방을 가지고 갔다.

미 대통령은 핵공격을 명령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유일한 인물이다. 대통령이 백악관을 떠나는 일정이 있을 때마다 핵무기 공격 시 명령 전달 지침, 코드, 핵전쟁 옵션 등이 담긴 서류가방인 ‘핵가방’을 든 군 보좌관이 늘 동행한다.

다만, 핵가방 공백 사태는 찰나에 불과했다. 핵가방은 여러 개 존재하며 이날 취임식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전달된 핵가방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가져간 것과는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매체는 전했다.

스티븐 슈워츠 미 핵과학자회 비상임연구원은 CNN과 인터뷰에서 “미국엔 같은 종류의 핵가방이 3~4개 정도 있다.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 그리고 대통령 취임식이나 의회 국정연설 같은 행사 때 ‘지정생존자’(designated survivor)로 정해진 인물에게 지급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임기는 이날 정오에 끝났다. 오전 11시 59분 59초까지 핵 통제권이 유지됐다. 정오를 기점으로 핵코드는 자동으로 바뀌었고, 군 관계자는 트럼프 전 대통령으로부터 핵가방을 회수해 워싱턴으로 돌아온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셀프 환송회’를 열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돌아오겠다”며 “항상 여러분을 위해 싸우겠다”고 말했다.

장연제 동아닷컴 기자 jej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