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슬픔·헌신..방역 최전선의 목소리들

김아영 2021. 1. 20. 20: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이 수어 인사도 이제 우리에게 익숙하죠.

또 의료진을 향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은 늘 변함이 없을 겁니다.

그들에게 지난 1년은 어땠을지, 또 지금 이 순간 간절히 바라는 건 무엇인지, 김아영 기자가 직접 만나서 들어 보았습니다.

◀ 리포트 ▶

전북 전주의 20년차 간호사 강정화 씨.

지난해 3월 의료진이 부족하단 얘기를 듣고 대구로 달려간 강 씨는 환자들이 먹고 내놓은 식기 치우는 일까지 해야 했습니다.

[강정화/코로나19 파견 간호사] "저는 그 때 한 번도 간호사였을 때 해보지 못했던 그런 업무들을 다 해봤어요. 청소, 그 다음에 폐기물 정리하는 것…"

방호복을 벗을 시간도 제대로 없는 하루 8시간의 고된 업무.

가족들도 들어올 수 없는 격리병실에서 환자가 쓸쓸하게 숨져갈 땐 강 씨도 함께 눈물을 흘렸습니다.

[강정화/코로나19 파견 간호사] "돌아가실 때 어떤 분이 그 눈, 딱 눈을 감을 때 눈물을 주르르 흘리더라고요. 이렇게 세상에 슬픈 죽음도 있구나…"

그러다 본인도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완치됐지만 대구에 간 걸 후회하지 않습니다.

[강정화/코로나19 파견 간호사] "봉사정신이나 이런 것들을 차치하고라도 저는 직업이 간호사니까…"

환자들이 밀려들어 일손이 턱 없이 부족한 전담병원 의사들에게도 지난 1년은 매일이 전쟁이었습니다.

[한민주/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코로나19) 환자분을 받아보니까 X-ray에서 폐가 거의 없는거죠. 환자분은 숨을 껄떡껄떡 이렇게 힘들게 쉬시고."

특히, 전공의들만 남은 야간에는 긴장 속에 밤을 새는 일이 허다했습니다.

[한민주/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밤에는 정말 전적으로 그냥 위험한 상황이어도 전공의가 판단을 해야되는 조금 저희로서는 불안한 면이 있거든요."

코로나 현장을 목격한 의료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건 초기 대응에 필요한 의료인력을 늘려달라는 겁니다.

[한민주/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저희 병원 같은 경우에도 이번에 3차 대유행이 일어나면서 코로나 중환자실 배드 수를 두 배로 늘렸거든요. 그런데 인력은 확충하지 않았어요."

특히 간호사들은 똑같은 일을 하는데도 파견 간호사들이 기존 간호사들보다 월급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기존 간호사들이 소외감을 느끼는 현실이 개선됐으면 좋겠다고 말합니다.

MBC뉴스 김아영입니다.

(영상취재: 나경운, 전승현 / 영상편집: 조아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연관기사]

1. 코로나 1년, 일상이 기적이었다

2. 가보지 않았던 365일의 기록…진정한 주역은 '우리'

3. [단독] "화이자 백신부터 온다"…보관·유통 준비 완료

4. 고통·슬픔·헌신…방역 최전선의 목소리들

5. 골프 회원권은 '2배'…고통의 시간도 '차별'

6. 밥줄 잃은 219만 명…'약한 고리'부터 끊어졌다

7. '노바백스' 기술도 이전…"공급 원활해질 것"

김아영 기자 (aykim@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064661_34936.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