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롯데, 신동빈 쓴소리에 바뀔까?

박규준 기자 2021. 1. 20. 18:2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모든 기업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지만, 10대 그룹 중 유일하게 롯데그룹만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재계 서열 5위라는 위상이 무색하다는 평가 속, 실적은 물론 디지털 전환 등 시대 흐름에도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롯데 하면 생각나는 '국민 껌', 후레쉬 민트가 단종 4년 만에 재출시됩니다.

지금의 롯데를 키워낸 상품이지만 현재 롯데를 대표하는  상품과 브랜드 인지도는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입니다.

이런 위기감은 신동빈 회장 입에서도 나옵니다.

최근 신 회장은  올해 첫 사장단 회의에서 "그 어느 때보다 경영지표가 부진했다, 우리의 잠재력을 시장에서 인정 못 받고 있다"고 경영진들에게 쓴소리를 했습니다.

실제 롯데그룹은  지난해 상반기 삼성그룹과 SK그룹이 각각 5조 원, 6조 원 넘는 순이익을 거둘 때 2천억 원 넘는 적자를 봤습니다.

10대 그룹 중 나홀로 적자입니다.

형제간 경영권 다툼과 사드사태,   보수적인 기업문화 등이 기업 실적과 미래에 두고두고 악재가 되고 있다는  관측입니다.

[박상인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  고 신격호 회장에서 신동빈 회장으로 승계 과정에서 많은 마찰이 있었죠. 오너리스크 때문에 경영전략을 잘 세워서 (해야 하는데), 사업 다변화 부분들 뒤처지지 않았나 생각이 들어요.]

가장 자신하는 유통도 코로나19 타격으로 지난해 2분기 영업익 98.5% 하락이라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롯데도 전체 매장 700개 중 200여 개를  단계적으로 없애고, 온라인몰인 '롯데온'을 출시하는 등,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지만 실제 성과가 언제쯤 나타날지는 미지수입니다.

SBS Biz 박규준입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