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양산업길 접어든 신문사..기자 7% 감소

오수현 2021. 1. 20. 16: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언론진흥재단, 2019년말 기준 신문산업 실태조사 발표
신문사 수는 3.1% 줄어 4246사..11대 종합일간지 매출 1.2% 감소
신문사 57.3%가 연 매출 1억 미만 구멍가게 수준

국내 신문산업 하향세가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가 계속될 경우 수년내 상당수의 신문사가 폐업 위기에 몰릴 전망이다.

20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신문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국내 신문사 수는 4246개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3.1% 감소한 수치다. 기자 등 신문업 종사자 수도 빠르게 줄고 있다. 전체 신문사 종사자는 4254명으로 2.2% 감소했고, 이중 핵심인 기자 수는 2만4384명으로 7.0% 감소했다.

다만 신문산업 매출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3조9651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이같은 매출증가세는 인터넷신문사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신문의 매출이 13.4% 증가한 반면, 종이신문의 매출은 2.7% 증가에 그쳤다.

특히 종이신문 중 11개 전국종합일간지의 매출액은 1조3752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줄어, 대형 신문사들의 매출은 이미 정체기를 지나 하향세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매출액이 100억 원 이상인 신문사는 49개사로 전체의 1.2%에 불과하며, 1억 원 미만인 신문사는 2435개사(57.3%)로 집계돼 대다수 신문사가 영세한 규모인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신문산업 종사자 수는 2010년부터 인터넷신문에 근무하는 종사자가 늘어나면서 꾸준히 증가했지만, 2015년부터 성장을 멈춘 상태"라며 "종이신문만 살펴보면 종사자 수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종사자의 남녀 구성 비율은 각각 65.0%, 35.0%로 나타났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비율은 86.2%와 13.8%로 집계됐다.

기자직 종사자의 남성과 여성 비율은 69.4% 대 30.6%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비율은 82.6%와 17.4%로 집계됐다.

[오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