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주호영 맹폭..DJ 이후 23년만에 '공업용 미싱' 소환(종합)

조민정 2021. 1. 20. 1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20일 문재인 대통령도 향후 사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발언한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를 겨냥해 맹공을 이어갔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정치 도의를 넘어선 발언"이라며 "제1야당 지도자가 현직 대통령을 범법자 취급하는 저주의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주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언하는 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je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강민경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20일 문재인 대통령도 향후 사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발언한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를 겨냥해 맹공을 이어갔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정치 도의를 넘어선 발언"이라며 "제1야당 지도자가 현직 대통령을 범법자 취급하는 저주의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주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김종민 최고위원은 "부당하게 당했으니 언제든 갚아주겠다는 보복선언, 국정농단 심판과 탄핵을 인정하지 않는 보복선언, 촛불 민주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고 규탄했다.

신동근 최고위원도 "이런 막말은 국민들의 분노를 일으켜 오히려 전직 대통령들의 사면을 어렵게 만들 뿐"이라며 "주 원내대표는 속으로는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바라지 않는 국민의힘 내 '엑스맨'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까지 갖는다"고 했다.

신영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주 원내대표는 국민통합이라는 정치권의 오랜 과제를 3류 보복 정치 활극으로 바꾸었다"며 "국민께 사과하고 국회의원직 사퇴로 본인 발언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바란다"고 했다.

3선 김경협 의원은 페이스북에 '수신처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라는 글씨를 합성한 미싱 사진을 올리면서 "더이상 국민의 귀를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공업용 미싱을 선물로 보냅니다"라고 썼다.

지난 1998년 지방선거 당시 한나라당 소속 김홍신 의원은 김대중 대통령과 임창렬 경기지사 후보를 향해 "거짓말을 너무 많이 하고 사람들을 너무 많이 속여서 공업용 미싱으로 박아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가, 모욕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있다.

[김경협 의원 페이스북 캡처]

강훈식 의원은 CBS라디오에서 "왜 저렇게 국민 통합과 엇박자 나는 이야기로 정치적 공세를 하는 것일까"라며 "역설적으로 사면을 가장 멀리 만들고 있는 분이 주 원내대표"라고 비난했다.

강 의원은 이어 "(주 원내대표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했던 분이다. 그 전으로 올라가면 박 전 대통령이 주 원내대표를 대구에서 공천을 안 줬다"며 "원인부터 파악해 보면 공천을 안 줘서 탄핵도 하고 지금은 억하심정으로 오히려 (사면을) 막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sncwook@yna.co.kr

☞ '4번째 음주운전' 채민서 2심도 집유…치상 무죄
☞ 편의점서 '285만원 골드바' 20개, 3시간 만에 완판
☞ 여성단체 뿔난 '신지예 대표 성폭행 사건'은…
☞ 밥 먹으라고 잠 깨운 아내에게 끓는 물 부은 남편
☞ 이휘재, 층간소음 논란에 "부주의했고 실수 많았다"
☞ 노선영측 "오히려 김보름의 허위 인터뷰로 고통"
☞ 대낮 음주사고 박시연 "안일한 생각 깊이 반성"
☞ 남친과 헤어지자 대리모가 낳은 아이를...'발칵'
☞ 스타 커플의 결별 방정식...쓰레기통에 사진이
☞ "배달 치킨 맛없어 다 버렸어요"…권력이 된 별점테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