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 260만개..전년보다 15만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전년보다 15만개 넘게 늘면서 통계작성 이래 가장 크게 증가했다.
공무원 수 증원,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부 일자리사업의 영향이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공공부문 일자리는 260만2,000개로 전년보다 6.1%(15만1,000개) 늘어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공공부문 일자리는 260만2,000개로 전년보다 6.1%(15만1,000개) 늘어났다. 증가 폭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컸다.
일반 정부(222만개)는 전년보다 12만3,000개(5.9%) 늘었고, 공기업(38만2,000개)은 2만8,000개(7.8%) 증가했다.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9.5%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경찰·소방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공무원 수가 늘었고,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효과도 작용했다.
전 연령층에서 일자리가 증가했지만, 특히 60세 이상 일자리가 19만5,000개로 전년보다 23.2%(3만7,000개) 급증했다. 29세 이하(41만5,000개)는 3만4,000개(8.8%), 30대(66만5,000개)는 2만3,000개(3.6%), 40대(71만5,000개)는 1만4,000개(2.0%), 50대(61만2,000개)는 4만3,000개(7.6%)씩 각각 늘었다. 근속기간별로 보면 3년 미만이 30.4%로 가장 많았고 20년 이상(22.5%), 10~20년 미만(22.1%), 5~10년 미만(15.0%) 순이었다.
우리나라 정부기관 일자리 199만7,000개 중 공무원이 차지한 일자리는 135만9,000개(68.1%)로 비공무원(63만7,000개·31.9%)의 2.1배 수준이었다. 정부기관의 평균 근속기간은 11.8년이었다. 공무원은 15.2년으로 비공무원(4.3년)의 3배를 훌쩍 넘었다. /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시장 출마' 허경영의 파격공약 '연애수당 月 20만원 준다'
- 충격적인 정인이 공소장...'깁스한 상태에서도 학대'
- 마포 전용 59㎡도 15억 돌파…대출금지선 곳곳 넘어
- '1,000원' 축의금 봉투 수십 개 만들어 132만원 어치 식권 받으면 처벌 받을까?
- 김보름, 노선영에 2억원 손배소 '허위인터뷰로 정신적·경제적피해'
- 대구에서 노래방 도우미 잇따라 확진…방역 비상
- 이재명의 항변 '정부 온누리상품권은 장려하면서 경기 재난소득은 안되나?'
- '대낮 음주운전 사고' 박시연 '자신에 대해 후회…진심으로 반성하고 반성할 것'(종합)
- '고춧대차' 유튜브로 광고한 한의사, 알고보니 주가조작 피고인
- 이재용, 2017년 옥중에서도 투자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