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브 OTT박스 플랫폼 개방..신디케이터 변신한다

김은지 2021. 1. 20. 13: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딜라이브 디지털OTT방송이 올해부터 OTTv(OTT 박스) 플랫폼을 완전 개방, OTT 비즈니스를 희망하는 전문PP 및 유튜버들과 함께 공동 성장한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딜라이브는 지난 2016년, 국내최초로 일반TV에 연결해 넷플릭스와 같은 OT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비(OTTv) 판매 사업을 시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딜라이브 디지털OTT방송이 올해부터 OTTv(OTT 박스) 플랫폼을 완전 개방, OTT 비즈니스를 희망하는 전문PP 및 유튜버들과 함께 공동 성장한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딜라이브는 지난 2016년, 국내최초로 일반TV에 연결해 넷플릭스와 같은 OT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비(OTTv) 판매 사업을 시작했다. 즉 일반TV를 스마트TV로 바꿔 넷플릭스나 구글의 모든 컨텐츠와 자체적으로 5만여편에 이르는 무료 컨텐츠를 함께 제공해 스마트폰의 소형화면이 아닌 일반TV에서 OTT 서비스를 즐기려는 계층에게 각광을 받아왔다.

2016년 7월 첫 판매를 시작해 2017년 8월 10만대, 2018년 4월 20만대, 그리고 같은 해 12월 누적판매 30만대를 돌파했다. 그리고 2019년 11월 40만대, 2020년 9월 50만대를 넘어서 OTT박스 볼륨 확대를 일궈냈다.

딜라이브는 올해부터는 다양한 전문PP들과 협력해 실시간 스트리밍과 VOD서비스는 물론,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비즈모델을 지원하는 일명 'OTT 신디케이터(Syndicator)'로 변신, 질적 성장을 이뤄낼 계획이다.

이미 OTT 서비스를 시작한 콘텐츠 기업은 물론, 아직 사업을 준비 중인 PP들에게도 OTTv 플랫폼을 오픈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지원해 이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간다.

딜라이브 OTTv는 지금까지 일반 TV에 연결하면 이를 스마트TV로 만들어주는 장비를 판매하는 사업과 넷플릭스와 같은 OTT 이용 중계를 통한 구독료 수입 사업을 진행해왔다.

이제부터는 플랫폼의 외연을 확장한 만큼 OTTv를 통해 송출하는 컨텐츠에 광고를 삽입해 무료로 시청할 수도 있게 하는 AVOD(Advertising VOD)과 고객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타켓광고도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TVOD(Transactional VOD, 컨텐츠별로 요금을 지불하고 시청하는 방식의 VOD)과 SVOD(Subscription based VOD, 특정서비스에 가입한 후 요금을 지불하면 제공되는 VOD) 수익모델을 진행해 왔다. 여기에 시청자들이 자신이 희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에만 비용을 지불하는 알라카르테(A-La-Carte) 형태의 사업모델도 향후 진행할 계획이다.

딜라이브는 이를 위해 CEO 직속의 OTT사업본부를 출범시켰으며, 기존의 케이블 유료방송 서비스 사업과 융합적 형태로 비즈니스를 진행한다. 딜라이브는 이번 플랫폼 오픈을 계기로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확대해 향후 3년내 총 누적 300만대의 박스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김은지기자 kej@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