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항공기·우주 테마, 쎄트렉아이 +11.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98%

C-Biz봇 2021. 1. 20. 09: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테마 설명국내 항공기 정비 시장 규모는 연간 2조원 수준(국토교통부). 세계 항공기 시장은 미국 '보잉'과 유럽 '에어버스'가 양분.

기존 항공기 노후화에 따른 항공기 대체 수요가 신규 항공기 시장의 44%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이에 따라 항공기 부품 교체 수요도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짐(출처:보잉).세계 우주 시장은 민간 우주산업 중심으로 급성장.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항공기·우주]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67% 상승세이다. 쎄트렉아이(099320)+11.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4.98%, AP위성(211270)+4.01%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국내 항공기 정비 시장 규모는 연간 2조원 수준(국토교통부). 세계 항공기 시장은 미국 '보잉'과 유럽 '에어버스'가 양분.
항공기 산업은 신규 항공기 시장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기존 항공기 노후화에 따른 항공기 대체 수요가 신규 항공기 시장의 44%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2018∼2037년 20년 동안 약 4만 2700대의 신규 항공기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항공기 부품 교체 수요도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짐(출처:보잉).
세계 우주 시장은 민간 우주산업 중심으로 급성장. 미국의 스페이스X와 블루오리진은 앞다퉈 위성 발사 서비스와 우주여행 등의 상품을 내놓는 중. 2040년 세계 우주 시장은 1조 달러(약 112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모건스탠리).
기존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군용기 비중은 줄어든 반면 민항기, 우주 및 관련 부품·장비, 정비·수리 부분의 비중은 커질 것으로 전망(산업통상자원부). 소형위성의 시장규모는 2020년 7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편 세계 선진국들이 우주산업 육성에 열을 올리는 상황이지만 한국은 소극적인 모습. 하지만 정부가 2019년 1월 ‘우주개발 생태계의 획기적 발전을 위한 중장기 과제’를 발표한 점은 긍정적. 2016년 기준 2조 7000억원인 우주산업의 규모를 2021년 3조7000억원으로 확대하겠다는 비전 제시.
(마지막 업데이트 2019. 01. 29.)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쎄트렉아이(099320) +11.50% 위성시스템 개발 업체. 국내에서 유일하게 위성시스템을 자체 제작하고 수출.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4.98% 한화그룹 계열의 항공엔진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국내 군수 엔진시장 독점. 주요 품목은 가스터빈엔진 및 엔진부품, 엔진정비 등. 2021년 발사될 한국형발사체에 들어갈 75tㆍ7t 액체 로켓엔진의 총조립과 터보펌프ㆍ개폐밸브 제작.
AP위성(211270) +4.01% 위성통신 단말기 제조사. 주요 제품은 위성통신단말기인 위성휴대폰. 주요 고객은 UAE 두바이 소재 이동위성통신사업자인 THURAYA.
비츠로테크(042370) +3.94% 자동절환 개폐기, 진공차단기/저압차단기, 배전반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제조사. 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한 폐액처리 및 진공상태 초정밀접합, 특수정공 설계 등을 통한 항공우주 시제품을 생산하는 특수부문 사업도 영위. 국내최초로 액체로켓 연소기 개발과 제작에 성공.
한국항공우주(047810) +2.66% 군수·민간 항공기 제조 및 기체 부품 제조사. 국내 유일의 완제기 제조사. 군수용 항공기 시장 독점. 2020년에 발사할 예정인 차세대중형위성 2호를 개발하는 항공우주연구원의 총괄 주관업체로 선정. 7년간 4기의 군사정찰위성을 제작하는‘425 사업’의 광학(EO)ㆍ적외선 장비(IR) 탑재 위성 본체 개발 주관.
퍼스텍(010820) +1.55% 후성그룹 계열의 방위산업 전문업체. 항공우주 분야에서 고등훈련기 T-50 양산사업에 참여한 바 있으며, 나로호 사업에도 참여해 자세제어시스템 납품. 종속회사로 무인항공 시스템 업체 유콘시스템(지분율 44%) 보유.
한양디지텍(078350) +0.74% 반도체메모리 모듈 제조사. 관계회사 한양네비콤(지분율 25.29%)이 '나로호'에 탑재된 위성 항법 시스템, 정밀 유도무기 및 통신시스템, 정밀시각동기장치 등을 공급한 경험 보유.
아스트(067390) +0.52% 항공기 부품 제조사. 제조업체 중 최초로 기술특례로 상장. 항공기 골격 및 후방동체에 들어가는 스킨과 프레임 등을 주로 생산.
샘코(263540) 0.00% 항공기 도어시스템 분야 국내 유일의 제조사. 주요사업은 도어시스템, 점검도어, 항공기 부품 등.
하이즈항공(221840) 0.00% 항공기 및 항공기 관련 부품 조립 제조사. 주요사업은 항공기 제조산업 내 부품제작과 MRO사업(항공정비서비스).
오르비텍(046120) -0.51% 원자력사업, ISI사업, 항공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항공기 부품 제조사 '아스트'의 종속회사인 에이에스티지(ASTG)와 항공기 부품제작 조립계약 체결(2023년까지 5년간 공급). 보잉에 항공기 동체를 공급하는 스피릿사에 공식 인증을 받아 수주.

항공기·우주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33.28%


1개월 등락률 +16.56%


1주 등락률 +9.36%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