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오늘] 해리 트루먼의 'point 4 program'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곡절 끝에, 오늘 정오를 기점으로 미국 대통령이 바뀐다.
1933년 비준된 수정헌법 제20조 1항에 따라 대통령 취임식은 휴일이 아닌 한 1월 20일로 고정됐다.
4번째 항이라 해서 '포인트 4 프로그램'이라 불리는 저개발국 기술지원 프로젝트는 유럽 중심 마셜플랜의 보완책으로, 제3세계에 대한 소비에트의 이념 및 물질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 보건, 경제개발 자문의 포괄 지원 프로젝트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곡절 끝에, 오늘 정오를 기점으로 미국 대통령이 바뀐다. 1933년 비준된 수정헌법 제20조 1항에 따라 대통령 취임식은 휴일이 아닌 한 1월 20일로 고정됐다.
이전까지는 제헌 헌법 발효 시점인 3월 첫째 수요일(3월 4일)이 취임 일이었다. 당시 교통 여건상 당선자가 수도까지 이동하는 데 적잖은 시일이 걸렸고, 사적인 신변 정리에도 배려가 필요했다고 한다. 하지만 철도와 도로 교통이 발전하고 국내외 정세 변동성이 커지면서, 12월 대선 후 4개월이나 뒤에 권력이 이양되는 건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1932년 당선된 루스벨트는 전임 후버의 레임덕 임기 동안 세계공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고, 취임 전인 1933년 2월 암살 표적이 되기도 했다. 헌법이 바뀐 뒤 케네디, 클린턴, 조지 W 부시, 오바마, 트럼프가 모두 1월 20일 취임식을 가졌고, 취임 연설을 통해 국정과 외교 청사진을 펼쳐 보였다.
2차대전 종전 직전 뇌출혈로 사망한 루스벨트의 직을 승계한 해리 트루먼은 전임자의 잔여 임기를 채우고 1948년 대선에 당선됐다. 냉전의 주춧돌을 다진 정치인답게 그는 1949년 1월 20일 취임 연설에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평화와 자유를 위한" 국제 외교의 네 가지 원칙을 피력했다. 유엔 강화와 1947년 시작한 유럽복구 프로젝트 즉 마셜플랜의 지속, 서방 집단방위조약, 그리고 마지막이 "우리의 과학적 진보와 산업 발전의 혜택이 저개발지역 개발과 성장에 쓰일 수 있게 하는 과감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에 착수할 것"이라는 거였다.
4번째 항이라 해서 '포인트 4 프로그램'이라 불리는 저개발국 기술지원 프로젝트는 유럽 중심 마셜플랜의 보완책으로, 제3세계에 대한 소비에트의 이념 및 물질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 보건, 경제개발 자문의 포괄 지원 프로젝트였다. 이 프로젝트를 그는 "옛 제국주의, 즉 국외로부터의 이득을 위한 착취"와는 다른 "민주적 공정 거래에 입각한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중동 원유 등 자원 선점의 방편이 된 것도 사실이었다. 1950년 첫 수혜국이 이란이었던 것도 역사의 아이러니라 할 만하다.
최윤필 기자 proos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차례도 4명만 지내라는데... 설날에도 '5인 금지' 유지될까
- ‘기자 손가락욕’ 주장에 靑 “논란 자체가 의아… 큰 오해”
- 장근석 모친, 아들 해외수입 누락 등 '탈세혐의'로 벌금 30억
- "박범계 아들, 13세때 대치동 아파트 세대주… 부인도 위장전입 의혹"
- "대체 안 베낀 게 뭐냐" 까도 까도 나오는 표절, 줄잇는 수상 취소
- 하태경, 아이돌 성적대상화 '알페스·섹테' 제조·유포자 수사의뢰
- 이재용 실형 선고 하루만에 가석방·사면 불거지는 이유
- 문 대통령 '입양 취소' 발언 해명에도... "사과하라" 서명운동
- 불 꺼진 노래방서 쿵짝쿵짝? 집합금지 위반 348명 적발
- "쯔양이 차린 분식집 가격·양 왜 이래" 먹방 유튜버에 뿔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