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10만원·여수는 25만원..재난지원금 형평성·재정악화 논란 되풀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에 대응해 10만~25만 원가량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천차만별 재난지원금 논란'이 되풀이되는 모습이다.
19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경기도를 비롯해 울산시·강릉시·순천시·해남군·영암군 등이 1인당 10만 원의 재난지원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여수시는 지자체 중 최고 수준인 1인당 25만 원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이어 지역별 '복지 불평등' 도마 위에
재정자립도 낮은 지자체 '국세수입'으로 선심
지원금 '선별지급' 기조 해치고 있다는 비판도
19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경기도를 비롯해 울산시·강릉시·순천시·해남군·영암군 등이 1인당 10만 원의 재난지원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여수시는 지자체 중 최고 수준인 1인당 25만 원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8일 기자회견에서 “정부의 재난 지원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보완적인 부분은 지자체가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혀 이 같은 지자체별 재난지원금 살포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자체별 ‘형평성’ 및 ‘재정 자립도 악화’ 문제를 제기한다. 최병호 부산대 경제학부 교수는 “재정 여건에 따라 재난지원금을 주는 곳과 못 주는 곳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결국 복지 정책의 형평성 문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각 지자체의 낮은 재정 자립도를 감안하면 국세가 재난지원금 재원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문제”라고 밝혔다. 지난해에도 경기도 포천에 사는 소득 하위 70%인 4인 가족은 최대 280만 원의 지원금을 수령해 최대 1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은 여타 지자체와의 형평성 논란이 거셌다.
정부의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과 달리 각 지자체의 ‘보편 지급’ 방식 또한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재원이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지역 주민 모두에게 재난지원금을 살포하는 것은 어려운 자영업자들에게 되레 박탈감을 안겨줄 수 있다”며 “정부의 선별 지원 기조에 각 지자체가 호응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세종=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용, '코로나 백신 확보' 정부 요청받고 美출국 준비중이었다
- '영끌' 없이도 내집마련 가능하게…40년간 갚는 주담대 나온다
- 조국 딸 '의사국시' 합격에 '가운 찢고 싶다'던 임현택 '공정·정의·평등 짓밟혀'
- 감쪽같이 사라진 145억, 제주 카지노 내 있었나…시설 내 VIP금고서 81억 발견
- TV조선 'MBN이 '미스트롯' 포맷 표절했다' 소송전 예고
- 하얀 눈으로 덮인 사하라 사막…지구촌, 코로나에 이상기후까지 '이중고'
- 회사 차려 댓글로 경쟁 강사 비방…'1타 강사' 박광일, '댓글 조작 혐의' 구속
- 공항서 3개월 숙식하다 붙잡힌 美 남성...분실 신고된 직원 배지에 덜미
- '코로나 치료 효과' 속여…땔감용 고춧대로 茶 만들어 판 한의사·업체
- '교통 범칙금 문자인 줄 알았는데...' 경찰청 사칭 스미싱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