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소사] 1962년 공유수면매립법 제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부이촌동과 반포, 잠실·흑석동·서빙고동·압구정동·구의동···. 이들 지역은 한국의 대표적인 부자 동네라는 점 말고도 공통점이 또 있다.
공유수면매립은 한국 경제사의 이정표이기도 하다.
일본의 관련 법(1921년)을 식민지에 적용한 조선공유수면매립법을 1923년 3월 제정, 간척으로 새로운 땅을 확보하면 각종 혜택을 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20년 조선산미증산계획을 세운 총독부는 간척 사업을 서둘렀다. 일본의 관련 법(1921년)을 식민지에 적용한 조선공유수면매립법을 1923년 3월 제정, 간척으로 새로운 땅을 확보하면 각종 혜택을 줬다. 해방 이후에도 유지돼온 이 법은 제정 39년 만에 옷을 갈아입었다. 5·16 쿠데타군의 의결 기구인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2년 1월 20일, 33개 법률을 일괄 제정하면서 법률 986호 ‘공유수면매립법’을 통과시켰다.
옛 법령은 자동 폐기되고 이 법이 위력을 갖기 시작한 시기는 1960년대 말. 여의도 윤중제 공사(1967년 12월)를 시작으로 한국수자원공사의 1호 사업이던 동부이촌동 매립 사업(1969년 6월 완료), 최대 폭이 1㎞에 달했던 드넓은 백사장을 자랑하던 반포 등이 택지로 다시 태어났다. 문제는 온갖 추문이 끊이지 않았다는 점. 동작동 국군묘지(현 국립서울현충원)와 합정동 등 종교 단체가 매립권을 따낸 지역을 빼놓고는 정치권과 대기업의 검은 거래가 오갔다.
기업 입장에서는 황금알을 낳는 오리였다. 거의 무상으로 땅을 받아 아파트를 지어 팔 수 있었으니까. 한국 부동산의 특징인 선 분양 후 입주 제도 역시 이때 나왔다. 만성적인 자금 초과수요 상황에서 제조업에 우선 대출돼 자금이 부족해진 기업들은 실수요자의 돈을 미리 거둬 아파트를 올렸다. 과당 경쟁으로 잡음이 일자 권력이 직접 정리에 나서기도 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1970년 7월 10일 “공유수면매립 사업이 이권화하는 경향이 있다”며 김학렬 경제부총리에게 철저하게 감독하라는 지시까지 내렸다.
기업들은 권력에 떨었을까. 그런 척하면서 속으로는 비웃었다. 서울시 도시계획국장 출신인 손정목 전 서울시립대 교수가 쓴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에 따르면 정작 기업들을 먼저 불러내 정치자금과 매립 허가를 바꾼 당사자는 대통령의 뒷돈을 만들려는 경제부총리였다. 세제 혜택과 명문 학교 이전, 강북 개발 금지, 교통 인프라(지하철 2호선) 등 집중적인 지원책은 공유수면매립지의 확대를 불렀다. 강남이 태동한 것이다. /권홍우 선임기자 hongw@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국 딸 '의사국시' 합격에 '가운 찢고 싶다'던 임현택 '공정·정의·평등 짓밟혀'
- 감쪽같이 사라진 145억, 제주 카지노 내 있었나…시설 내 VIP금고서 81억 발견
- TV조선 'MBN이 '미스트롯' 포맷 표절했다' 소송전 예고
- 하얀 눈으로 덮인 사하라 사막…지구촌, 코로나에 이상기후까지 '이중고'
- 회사 차려 댓글로 경쟁 강사 비방…'1타 강사' 박광일, '댓글 조작 혐의' 구속
- 공항서 3개월 숙식하다 붙잡힌 美 남성...분실 신고된 직원 배지에 덜미
- '코로나 치료 효과' 속여…땔감용 고춧대로 茶 만들어 판 한의사·업체
- '교통 범칙금 문자인 줄 알았는데...' 경찰청 사칭 스미싱 주의보
- 월세만 2,300만원… 청담동 '펜트하우스' 살펴보니
- '전기요금 못내 전기 끊긴 곳도'…'밤 9시 영업제한' 거부한 PC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