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SK·LG 다 잘나가는데..5위 롯데는 왜 멈췄나?

김은령 기자 2021. 1. 19. 1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T리포트-위기의 롯데, 돌파구는]

[편집자주] 재계서열 5위 롯데그룹이 사상 최대의 위기에 빠졌다. 유통시장에 이제 ‘강자 롯데’는 없다. 쿠팡과 네이버가 온라인 중심의 시장 헤게모니를 장악한 가운데 롯데는 조연으로 전락했다. 그나마 버팀목 역할을 하던 화학마저 업황부진으로 허덕인다. 신동빈 회장이 ‘위기극복’과 ‘변화’를 외치지만,돌파구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롯데 위기의 원인을 짚어보고 뉴롯데의 길을 모색해본다.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이 코로나19 (COVID-19) 팬데믹에도 미래 먹거리 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가운데 재계 5위인 롯데그룹은 극심한 부진에 빠져 있다.

경영권 분쟁과 국정농단 재판·구속 등으로 인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리더십 공백,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와 일본불매운동, 코로나19까지 연이은 외부악재들이 롯데의 위기를 부른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기업문화에 따른 혁신의 부재에 있다는 안팎의 지적이 나온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종가 기준 롯데그룹 시가총액은 2019년 말에 비해 8% 증가했다. 4대 그룹의 시가총액이 같은기간 35~85% 가량, 코스피지수도 40%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초라한 수준이다. 그나마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등한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등 화학 계열사를 제외하면 7.8% 하락했다. 그룹 핵심 사업부문인 유통부문은 시장에서 철저히 외면 당한 셈이다.

롯데그룹 상장계열사의 지난해 매출(4분기 매출은 컨센서스)은 전년 대비 8.1% 감소했다. 삼성그룹, LG그룹이 각각 1%, 3% 증가했고 현대차, SK그룹이 각각 2.3%, 12.2% 줄었다. 비슷비슷한 실적에도 주식시장에서 롯데와 다른 그룹에 대한 평가가 크게 엇갈린 것은 그만큼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 차이 때문이다.

4대 그룹은 탄소중립 경제를 중심으로 한 신성장 사업부문에 적극적인 투자로 성과를 내고 있다. 반도체, 전기차, 로봇, AI(인공지능) 바이오 등이다. 특히 공격적인 M&A(인수합병)과 글로벌기업들과의 적극적인 제휴로 체질 변화에 성공하고 있다.

반면 롯데그룹은 2015년 경영권 분쟁 이후 리더십 공백과 외부 악재, 폐쇄적인 조직 문화 등이 겹치며 이렇다 할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실제 롯데그룹의 총 매출은 매년 하락 추세다. 2018년 84조원이었던 그룹 총매출은 2019년 74조5000억원을 기록했고 지난해 매출도 감소세를 이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룹의 근간인 유통, 식품 부문은 이전처럼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시장으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는 유통 패러다임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고전하고 있다. 지난해 향후 5년간 200여개 점포를 정리하는 등의 대대적인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고, 통합 온라인몰인 롯데온을 출범하는 등 본격적인 체질 개선에 나섰지만 아직은 이렇다할 성과가 없다.

신성장동력으로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화학 부문도 기대에 못 미치는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16년 삼성 화학 계열사를 3조원에 인수하며 글로벌 화학기업으로의 도약을 꿈꿨지만 지난해 추진했던 7조원 규모의 히타지케미칼 인수를 실패하는 등 투자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롯데는 유통업계 최강자였지만, 그동안 시장을 이끌어 가는 변화의 선두에 서기보다 신규 사업에 후발주자로 들어가 막강한 유통망과 물량공세로 시장을 장악하는 보수적인 경영전략을 써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문화와 경영전략은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 대응에는 뒤쳐질 수 밖에 없고 점차 경쟁력을 잃었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신동빈 회장은 최근 2년간 체질개선을 위한 조직 쇄신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VCM(Value Creation Meeting 옛 사장단회의)에서 "과거 성공 체험, 성공 경험에 집착하지 말고 1위가 되기 위한 투자를 과감히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직도 권위적인 문화가 일부 존재한다"며 "유연하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그룹은 사드, 일본 불매, 코로나19 등 연이은 외부 요인으로 주력사들을 둘러 싸고 있는 사업 환경이 우호적이지 않다"며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일본식 경영 스타일이 이어지는 외부 위기와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성희 "남편 아침에도 다 벗고"…권혁모 "7번 가능"남의 아이 임신하고 결혼…남편 군대간 새 또 남의 아이 낳은 아내한효주, 55억에 산 한남동 빌딩 80억에 매각1억5000만원 모아 강남에 내집 산 90년대생태연, 日어린이 노노카 따라잡기 '깜찍'
김은령 기자 tauru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