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코로나 시대에도 효과적인 해양관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 덕분에 해양과학 분야에서도 초 단위부터 수십 년에 이르는 다양한 시간 규모의 관측이 가능해져 해양현상을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실시간으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인공위성 및 무선이동통신 같은 정보통신기술, 해상에서 해저면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통신케이블 기술, 다양한 해양요소에 대한 현장 관측을 가능하게 해 주는 소형정밀관측센서 등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면서 공간적으로도 전 지구적 규모로 장기 관측할 수 있는 단계가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 덕분에 해양과학 분야에서도 초 단위부터 수십 년에 이르는 다양한 시간 규모의 관측이 가능해져 해양현상을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실시간으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인공위성 및 무선이동통신 같은 정보통신기술, 해상에서 해저면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통신케이블 기술, 다양한 해양요소에 대한 현장 관측을 가능하게 해 주는 소형정밀관측센서 등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면서 공간적으로도 전 지구적 규모로 장기 관측할 수 있는 단계가 됐다. 컴퓨팅 기술의 발전은 대용량 자료 처리와 저장을 통해 예측모델이 복잡한 해양현상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수중로봇, 웨이브글라이더, 수중글라이더, 수중드론 등 해양무인관측 기술 분야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연구선 위주의 해양 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넓은 범위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어 활용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세일드론은 극지방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실시간 정보를 안전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지난해 코로나 바이러스로 연구선 출항이 취소되는 상황에서 이를 대신해 성공적으로 관측 자료를 획득함으로써 그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이처럼 실시간으로 관측 자료를 받을 수 있는 자료전송 기술과 함께 저비용, 소형화된 관측센서는 앞으로는 유지ㆍ보수가 필요 없는 소모품으로 개발되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박준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누군가 내게 보낸 음란물… 女 80% “가해자 모른다”
- “장교가 존칭해주면 감사해해야” 부사관들 ‘발끈’
- 무한도전 이후 10억 날린 정준하 근황 “한 그릇도 직접 배달”
- 중국 내 조선족 학교 80% 사라졌다
- 남자 둘이서…홍콩 지하철 성관계 영상 ‘발칵’
- “200만원짜리 가방…4주 걸린다더니 1년째 감감무소식”(종합)
- 조국 딸 의사 국시 합격 소식...소청과의사회장 분노 “의사 가운 찢고 싶다”
- 日 가장 잔인하고 악명높은 야쿠자 조직 두목 ‘사형’ 구형
- “내 소설 통째 도용한 인물이 5개 문학상 수상” 일파만파
- ‘삼성家 3대’ 중 유일하게 두 번째 수감된 이재용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