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어진 집콕으로 늘어난 '코로나 변비' 방치하다간?

권대익 2021. 1. 18. 2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장 주머니에 게실염 발생 위험
예방 위해 하루 30분 운동  필수
코로나19에다 겨울철이라 집콕 생활이 늘면서 신체 활동이 크게 줄어 '겨울철 변비'로 고통을 받는 사람이 적지 않게 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하루에 한 번은 꼭 대변을 보던 A(52)씨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사흘에 한 번으로 횟수가 줄었다. 게다가 굵고 딱딱한 변 때문에 화장실에 있는 시간도 길어졌다. 대변을 본 후에도 잔변감에 화장실을 들락날락하지만 매번 실패만 한다. 최근에는 배 속이 부글부글하고 가스도 잦아져 관장을 해 봤지만 소용이 없었다. 그러다 몸살과 함께 아랫배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찾아와 병원을 찾았는데 ‘변비’가 아닌 ‘대장게실염’이라는 진단을 받는다.


◇1주일에 2회 이하 배변하면 '변비'

정상적인 배변은 나이와 관계없이 이틀에 한 번 내지는 많아야 하루에 세 번 볼 때를 말한다. 따라서 배변 횟수가 1주일에 2회 이하라면 변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배변 횟수가 충분하더라도 배변 시 1분 이상 힘을 주어야 배변이 될 정도로 굳은 변을 볼 때도 변비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은 대체로 하루 3회에서 주 3회 정도 배변 빈도를 보이고 있다. 이오영 한양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전국 15세 이상 1,0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결과, 대상자의 95.6%는 주 3회에서 일 3회 배변 빈도를 나타냈다.

그런데 겨울철에다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생활이 겹치면서 변비로 고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겨울에는 추워진 날씨로 외부 활동이 줄어들고 수분 섭취량도 부족해지기 때문에 갑자기 변비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신체 움직임이 적어지면서 장의 움직임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변비는 식사량이 충분하지 않거나,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거나, 변의(便意)를 느낄 때 변을 보지 않거나, 배변 습관이 일정하지 않거나, 임신했거나, 운동 부족이나, 환경 변화 등이 있을 때 잘 생긴다.

복용 중인 다른 약 때문에 변비가 생길 수도 있다. 김병성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제산제(특히 알루미늄이 다량 함유된 제산제), 고혈압 치료제 일부, 코데인이 함유된 진통제나 감기약, 진경제(복통에 사용하는 약물), 우울증약, 철분 제제 등이 변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변비 치료에는 다양한 약이 쓰이고 있다. 이항락 한양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변비 치료약으로는 부피 형성 하제ㆍ대변 연화제ㆍ삼투성 하제ㆍ자극성 하제 등이 있고, 최근 장관의 연동운동을 중계하고 장관에서 분비를 자극하는 세로토닌 수용체 작동제 같은 신약도 개발됐다”며 “환자 증상이나 심한 정도에 따른 약물 조절이 중요하다”고 했다.

게티이미지뱅크

◇하루 20분 정도 땀날 정도 운동해야

겨울 변비를 예방하려면 하루에 20분씩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조깅을 하는 등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밖으로 나가는 게 꺼려진다면 복부를 시계 방향으로 마사지하거나 손바닥으로 복부를 두드리며 복부 근육을 자극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한 아침에 냉수 한 잔으로 대장의 연동운동을 유도하고, 평상 시 따뜻한 물을 자주 마셔 대장 운동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밥이나 국 등의 음식으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매일 2L 정도의 물을 의도적으로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인스턴트나 육류 위주의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채식 위주로 식단을 바꿔 섬유질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소ㆍ과일을 자주 먹고 겨울철에는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해조류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좋다.


◇대장게실염 때문에 변비 생길 수도

문제는 겨울 변비를 대수롭게 여기다 뒤늦게 대장게실염으로 고생하는 경우다. 게실(憩室ㆍdiverticulum)은 위나 대장 등 장기 바깥에 돌출된 작은 주머니를 말한다. 소화기 중에는 대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대장 게실이 있는 사람 가운데 85% 정도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대장 게실 자체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변비가 심하거나 만성변비라면 변이 작고 딱딱해져 대장이 변을 옮기기 위해 더 강한 수축을 해야 한다.

이때 높아진 압력이 장벽 중 약한 부위를 밀어내면서 점막이 변형되면 문제가 생긴다. 게실 주머니 안으로 변과 음식물 찌꺼기 등이 들어가 염증을 일으켜 통증이 생기기 때문이다. 보통 감기와 같은 열감과 함께 복통을 느끼며 어지럼증과 구토, 설사가 동반되기도 한다. 심하면 장 출혈과 천공(穿孔)으로 혈변을 보게 되고 장에 구멍이 났다면 극심한 복통과 함께 복부 팽만ㆍ복막염 등이 생길 수 있다.

강진구 강동성심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변비인 상태에서 복통이 생기고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고 점점 심해지면 대장게실염을 의심해봐야 한다”며 “특히 열이 나면서 혈변이 보이면 위급한 상황일 수 있으니 곧바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변비 치료를 위한 올바른 습관]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갖는다.

-아침식사 후 15분 이내 화장실에 간다.

-가능하면 배변 습관을 매일 시행한다.

-배변 시 너무 오래 앉아 있거나 책보기ㆍ흡연은 피한다.

-좌욕을 자주해 항문 주위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한다.

-아침식사를 꼭 먹는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채소ㆍ과일ㆍ현미ㆍ옥수수ㆍ콩ㆍ통밀 등)을 먹는다

-물은 최소한 하루 1.5리터 정도 마신다.

-커피ㆍ차ㆍ술 등은 되도록 삼간다.

-변비 해소에 도움되는 운동은 걷기ㆍ달리기ㆍ수영 등을 한다.

-윗몸 일으키기ㆍ바로 누워서 다리를 30도 정도 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운동이 좋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