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lemmas of a 'risk society' (KOR)

2021. 1. 18. 19: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적 위험(risk)은 과거의 위험(danger)과 구분해야 한다."

벡은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세먼지와 같은 현대적 위험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벡은 "현대적 위험은 보편적인 생산된 위험(manufactured risk)"으로 봤다.

그의 표현대로 현대사회에서 위험은 국가를 초월한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1944-2015) argued in his 1986 book "Risk Society" that modern risk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past danger. To Beck, a natural disaster like a wildfire is a danger of the past. The..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1944-2015) argued in his 1986 book “Risk Society” that modern risk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past danger. To Beck, a natural disaster like a wildfire is a danger of the past. The danger can be perceived visibly and clearly. Meanwhile, fine dust is a modern risk. As it is not visibl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its levels without special equipment. It is also hard to calculate the damage. Deaths from fine dust can only be estimated with probability. Beck predicted that modern risks like fine dust will increase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Beck regarded modern risk as a “universal and manufactured risk.” As he argued, risk transcends borders in modern society. Fine dust originates from Chinese factories and rides on the westerly wind to the Korean Peninsula.

Modern risk is amplified through political and social events, while a past danger stands on its own. A notable example is the mad cow disease protests in 2008. Protests were kicked off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andom culture and exploded by some civic groups. As the size of the protests grew, people’s awareness of mad cow disease increased. In the process, mad cow disease was even compared to cyanide. After the dormant period of 10 years has passed, however, no death from mad cow disease has been reported in Korea.

Politics works as a concave lens to amplify risk. Facts based on science are easily ignored as they go through the lens of politics. The ruling Democratic Party (DP) is raising the issue of the Wolseong-1 nuclear reactor’s tritium. A DP lawmaker claimed that tritium was released from the reactor unwittingly. DP Chairman Lee Nak-yon said that collusion with a nuclear reactor mafia should be clarified. But tritium leaks over the permitted level outside the nuclear reactor have been confirmed.

According to the nuclear energy Wiki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Nuclear Energy Police Center, tritium is a radioactive isotope emitting weak radiation. If released to the environment and consumed, it can emit radiation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cause mutations or cancer, and the consumption amount is strictly regulated in many countries. As the biological half-life of hydrogen in water is 12 days, half of the tritium absorbed by the human body is discharged after 12 days.

The release of tritium will be confirmed soon. We should be wary of the manufactured risk and the forces who seek to balloon that risk.

위험사회 강기헌 산업1팀 기자

“현대적 위험(risk)은 과거의 위험(danger)과 구분해야 한다.”

독일 사회학자 울리히 벡(1944~2015)은 1986년 내놓은 『위험사회』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벡에게 있어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는 과거의 위험이다. 두 눈으로 명확하게 위험을 파악할 수 있다. 피해 산정도 가능하다. 반면 미세먼지는 현대적 위험이다. 일단 눈에 보이지 않는다. 특별한 장비가 없으면 농도 측정도 불가능하다. 피해 산정도 까다롭다. 미세먼지로 인한 사망자는 확률적인 추정만 가능할 뿐이다. 벡은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세먼지와 같은 현대적 위험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벡은 “현대적 위험은 보편적인 생산된 위험(manufactured risk)”으로 봤다. 그의 표현대로 현대사회에서 위험은 국가를 초월한다. 중국 공장 굴뚝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는 서풍을 타고 한국으로 건너온다. 현대적 위험은 정치 혹은 사회적 사건을 거치면서 증폭된다. 과거의 위험이 두 발로 홀로 서서 존재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2008년 광우병 시위가 대표적이다. 여중생 팬덤 문화에서 시작된 광우병 시위는 일부 시민단체가 주도하면서 폭발했다. 시위 규모가 커질수록 광우병에 대한 사람들의 위험 인식도 커졌다. 그 과정에서 광우병을 청산가리에 비유하는 말까지 나왔다. 하지만 잠복기(10년)가 지났음에도 광우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국내에서 보고된 적은 없다.

정치는 위험을 증폭시키는 볼록렌즈로 작동한다. 과학에 기반을 둔 팩트는 정치라는 렌즈를 거치며 가볍게 무시된다. 여당이 키우는 월성 원전 삼중수소가 그렇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비계획적으로 삼중수소가 유출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낙연 대표는 “원전 마피아와의 결탁 여부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원전 밖에서 기준치 이상의 삼중수소가 발견된 사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삼중수소는 약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이다. 환경으로 누설되어 섭취하면 체내에서 장기간 방사선을 발생시켜 돌연변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어 각국은 섭취 허용 한도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중략) 물에 포함된 수소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12일이다. 즉, 12일 후에는 인체에 흡수된 삼중수소의 절반이 체외로 배출된다.’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원자력 위키)

삼중수소 외부 유출 여부는 조만간 확인될 것이다. 우리가 경계해야 하는 건 생산된 위험과 이를 키우는 세력이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