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 2034년 26%까지 늘린다

이환주 2021. 1. 18. 18: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수송 등 전 산업 전환 불가피
한국, 유럽 등에 비해 신재생 발전 한계
수소경제 분야 선도국 지위 차지 전략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 등 내용 담은
수소경제 로드맵 2.0 발표 예정

지난해 10월 열린 제48차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총회에서는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가 195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승인됐다.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전 세계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현재의 절반 이하로 낮추자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우리나라에서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장기 비전도 이산화탄소 배출은 줄이면서 국내총생산(GDP)은 성장하는 '그린 크로스(green cross)'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세계 각국 탄소중립 실현 전략 봇물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세계 각국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내고 있다. 큰 틀에서는 탈석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를 기반으로 각 국가가 처한 기후, 지형, 자원 등의 환경을 고려해 에너지 전략을 짜고 있다.

덴마크는 지난해 재생에너지 전력 비중이 80%를 달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풍력과 태양광으로만 덴마크 절반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한 것이다. 덴마크는 앞으로 재생에너지를 통한 100% 전력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지난 14일 글로벌 그린수소 리더십 확보를 위해 7억유로(약 93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수전해설비 경쟁력 향상, 해상풍력을 활용한 연료 생산, 수소 운송 연구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최소 55% 감축하기로 합의했다. EU에서 탈퇴한 영국은 68% 감축을 약속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취임과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서명하며 탄소중립 정책에 나설 전망이다.

한·중·일도 탄소중립 대열에 합류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국가 1위가 중국, 5위 일본, 7위가 한국이다.

중국은 2030년까지 GDP 단위당 탄소배출을 2005년 대비 65% 이상 감축하고, 1차 에너지 소비기준 비화석연료 비중을 25% 늘리는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약속한 206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일본 스가 총리는 지난해 11월 취임하며 '2050년까지 탈탄소 달성'을 공약했다. 2050년까지 총 발전량의 50~6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이 목표다.

■에너지, 수송, 건물, 산업 다 바뀐다

지난해 말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산업, 수송, 건물 등 전 분야에서 변화가 불가피하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로 전환될 전망이지만 높은 제조업 비중,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 다배출 업종 의존도가 높아 탄소중립 실현이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좁은 국토면적 등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늘리는 데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탄소중립 추진전략 10대 과제로 △에너지 전환 가속화 △고탄소 산업구조 혁신 △미래 모빌리티 전환 △도시·국토 저탄소화 △신유망산업 육성 △혁신생태계 저변 구축 △순환경제 활성화 △취약 산업·계층 보호 △지역중심의 탄소중립 실현 △탄소중립 사회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로 정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2034년 26%까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말 확정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설비용량 기준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2020년 15.8%에서 2034년 40.3%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산업부가 발표한 '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5.8%로 높아질 전망이다.

2034년을 기준으로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40%가 넘는 반면 실제 발전 비중은 26% 이하인 이유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경우 날씨, 기후 등 조건에 따라 100% 효율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유럽 등과 비교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한계가 있는 만큼 수소경제 분야에서 선도국 지위를 차지한다는 전략이다.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하고 남은 전력은 수소 형태로 저장해 활용하고, 장기적으로는 그린수소(물분해 수소) 시장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오는 2월 중 '수소경제 로드맵 2.0'을 발표할 계획이다. 1차 수소경제 로드맵이 수소경제 선점을 위한 인프라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면 2.0에는 그린수소 경제 이행을 위한 장기 비전, 수소 에너지 활용을 위한 액화수소 플랜트 건설 등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담길 전망이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