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日기업 자산 강제집행 바람직 안해..외교 해법이 우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해 일본 기업 자산의 강제집행보다는 외교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수출규제와 강제징용 판결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양국이 여러 차원의 대화를 하던 중에 또 위안부 판결 문제가 더해져 솔직히 조금 곤혹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과거사는 과거사이고 한일 간에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해나가야 되는 것은 그것대로 해야 된다고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 법원 위안부 판결에 곤혹
양국 '2015년 합의' 공식 인정"
文 위안부 문제서 한발 물러서
문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한일 간 과거사 문제를 풀 외교적 해법에 관한 일본 마이니치신문 기자의 질문에 “과거사 문제들은 사안별로 분리해서 서로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수출규제와 강제징용 판결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양국이 여러 차원의 대화를 하던 중에 또 위안부 판결 문제가 더해져 솔직히 조금 곤혹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과거사는 과거사이고 한일 간에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해나가야 되는 것은 그것대로 해야 된다고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판결 문제와 관련, “지난 2015년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가 양국 정부 간 공식 합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며 기존보다 한발 물러선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기존 합의의) 그런 토대 위에서 이번 판결을 받은 피해자 할머니들도 동의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협의해나가겠다”며 “모든 문제를 연계시켜서 다른 분야의 협력도 멈추는 태도는 결코 현명하지 못한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강제집행의 방식으로 (일본 기업 자산을) 현금화하는 방식은 한일 양국 간의 관계에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며 “양국 간에 외교적인 해법을 찾는 것이 우선인데, 다만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어야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는 방법을 양국 정부가 협의하고 한국 정부가 원고들을 최대한 설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차근차근 해결해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이후 한일 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한일의원연맹 의원들이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를 잇따라 예방한 데 이어 이달에는 강창일 전 민주당 의원을 신임 주일본 한국 대사로 임명했다. 교착 상태에 빠진 한일 관계를 정치적으로 조속히 해결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윤경환기자 ykh22@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월세만 2,300만원… 청담동 '펜트하우스' 살펴보니
- '빗길에 무단횡단 보행자 사망사고' 임슬옹 벌금 700만원
- [속보]文대통령 '윤석열, 정치 생각하며 검찰총장 역할하지 않아'
- 원형탈모 앓은 임산부, 유산 위험 높다?
- '마스크 잘 써서…' 부산시 확진자 지하철 동선 비공개 논란
- [잇써보니] '4개의 눈' 갤럭시S21 울트라, 야간에 10배 줌으로 찍어도 또렷
- 택시·승용차 내 코로나19 감염 위험 낮추는 환기법은?
- 카카오T도 배너 광고 띄운다...일부 유저들 피로감 호소
- 출생신고 안한 8살 딸 살해한 엄마 구속…아빠는 숨진 채 발견
- 트럼프, 플로리다에 '왕국' 세우나…신당 창당 출마설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