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法' 적용 기업 6개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콘텐츠 사업자에 통신서비스 품질유지 의무를 부과하는 일명 '넷플릭스법' 적용 대상이 지난해보다 한 곳 늘어난 여섯 곳으로 정해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구글, 페이스북, 넷플릭스, 네이버, 카카오, 콘텐츠웨이브 등 6개 업체를 부가통신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개정된 전기통신사업법의 의무 대상 사업자로 지정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사업자에 통신서비스 품질유지 의무를 부과하는 일명 ‘넷플릭스법’ 적용 대상이 지난해보다 한 곳 늘어난 여섯 곳으로 정해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구글, 페이스북, 넷플릭스, 네이버, 카카오, 콘텐츠웨이브 등 6개 업체를 부가통신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개정된 전기통신사업법의 의무 대상 사업자로 지정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넷플릭스법 적용 대상은 직전연도 3개월간 하루평균 이용자가 100만 명 이상이면서 국내 발생 트래픽 양이 국내 총 트래픽의 1% 이상인 사업자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웨이브’를 운영하는 콘텐츠웨이브가 처음으로 포함됐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