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에 선 그은 文.."재판결과 부정한 朴·MB, 국민이 용납 안해"
향후 보궐·대통령선거 국면서
사면카드로 판 흔들기 가능성
한명숙 등 정치인도 검토안해
"현장방문 前대통령보다 많아"
소통부족 지적에 적극적 해명
◆ 文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 박근혜·이명박 사면론 ◆
문 대통령은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재판 절차가 이제 막 끝났는데 엄청난 국정농단, 권력형 비리가 사실로 확인됐고 국가적 피해도 막심했다"며 "국민이 받은 고통이나 상처도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과거 잘못을 부정하고 재판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사면을 요구하는 움직임에 국민의 상식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저 역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의 사면론 이후 여당 내 반발로 '선(先)사과, 후(後)사면검토'로 돌아선 것과 같은 맥락이다.
당장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멀게는 내년 5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여론의 향배가 관건이다. 게다가 여권 측에서 지지세 확장과 야권의 분열을 노리는 선거 카드로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면을 통해 판 흔들기에 나설 수도 있다는 해석이다. 내년 대통령선거까지 내다본 전략이 될 수도 있다. 문 대통령은 당분간 여론의 추이를 살필 것으로 보인다. 사면 찬성 여론이 많아지거나 두 전직 대통령의 전격적인 '사과'가 나오면 다시 여론 수렴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국정 부담과 지지층 여론을 고려해 박 전 대통령만 먼저 사면하는 '선별 사면'이나 형집행 정지 후 사면으로 이어지는 2단계 사면론도 제기된다.
이런 판단에 따라 여권 인사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 사면에도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한편 이날 문 대통령은 국민과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적극 해명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신년회견과 국민과의 대화 등 언론이나 국민과 직접 소통한 것이 6차례에 불과하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때문에 소통이 어려운 상황이었다"면서 "기자회견만이 국민과 소통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어느 대통령보다 현장방문을 많이 했고 작은 그룹이지만 국민과 서로 양방향 대화를 주고받았다"고 했다.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文 "투기 차단하면 될줄 알았다"…부동산 실패 뒤늦게 인정
- [단독/레이더P] 박범계, 처가 부동산 거래 논란에 "가족 추억 서린 곳이라…"
- `유명희 딜레마`에 빠진 한국 외교
- 머쓱해진 이낙연, 힘실린 이재명…文회견에 與잠룡 투톱 희비
- 文 "백신 부작용땐 정부 보상…불신 크면 내가 먼저 접종"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